Featured Articles - K-ARTNOW
Featured Articles
한국 동시대 미술의 다채로운 시각과 스토리를 전합니다.

Latest Articles

Art Online_Art Voice 사람은 이름을 남기고 작가는 작품을 남긴다. 웹사이트는 작가 평생의 기록이다. 한국 동시대 미술의 현장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한 가지 놀라운 사실이 있다. 수많은 전시와 프로젝트가 매주 열리지만, 정작 작가 자신을 체계적으로 기록한 공식 웹사이트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2025.10.28
Art+_Art Voice 세계 속의 K-컬처, K-아트의 미래 2025.10.14

Made possible by

Art Focus

매 주 하나의 주요 뉴스를 선별하여 심도있게 전달합니다.

Art Spectrum

한국 동시대 미술의 다채로운 흐름과 트렌드를 담아냅니다.
The One & Only Place
Where Korean Contemporary Art
Meets the World Every Moments
Join for Newsletters

& limited access to news & exhibitions

Follow Us on Social Media

Art Voice

한국 동시대 미술계의 다양한 목소리를 현장감있게 전합니다.
Art+_Art Voice 블록버스터 붐: 예술 전시로 포장된 거대 상업 이벤트

최근 한국 미술계는 그야말로 ‘블록버스터 전성시대’다. 반 고흐, 호퍼, 뭉크, 바스키아 등 해외 유명 작가들의 전시가 연이어 열리며, 마치 글로벌 스타들의 투어 콘서트를 방불케 한다. 《불멸의 화가 반 고흐》전은 개막 두 달 만에 35만 명이 방문했고, 《비엔나 1900, 꿈꾸는 예술가들》 전시는 티켓을 구하기조차 어려울 정도다.

2025.02.25
Auction_Art Voice 너희가 한국의 옥션을 아느냐

한국 미술계와 미술 시장은 2000년대 이후 외형적으로 크게 성장했다. 한국미술시가감정협회(이사장 김영석)와 아트프라이스(대표 고윤정)의 조사에 따르면, 지난 24년간 국내 미술품 경매시장은 1830배 성장을 보였으며, 2022년 기준 전체 낙찰총액은 약 2조5354억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국내 첫 미술품 경매사가 생긴 1998년의 약 1억8000만원 규모였던 경매시장 규모가 최대 규모를 보인 2021년 약 3294억까지 성장한 것이다.

2025.02.11
Art+_Art Voice 국립현대미술관,〈젊은 모색〉전의 서울 개최를 허하라

21세기 대한민국은 세계가 주목하는 문화강국으로 자리매김했다. K-팝은 글로벌 음악 시장을 석권하고, K-드라마와 K-문학은 대중문화와 순수예술을 아우르며 전 세계인의 일상이 되었다.

2024.12.17
Gallery_Art Voice 갤러리K 와 지웅아트갤러리 사건 : 투자와 투기 사이

2024년, 한국 미술 시장을 뒤흔든 대규모 금융 사건이 발생했다. 갤러리K라는 미술품 거래 업체는 투자자들에게 연 7~9%의 수익률과 원금 보장을 약속하며 대규모 자금을 유치했으나, 최근 고객들의 집단소송으로 전모가 드러나며 충격을 주고 있다.

2024.11.19
Museum_Art Voice 퐁피두 센터의 분관 유치 논란, 무엇이 쟁점인가?

최근 한국 미술계에서는 세계적 문화 명소인 국립 퐁피두 예술문화센터(Centre National d'Art et de Culture Georges-Pompidou)의 분관 유치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찬반 양론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쟁점과 방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합니다.

2024.10.22
Biennale_Art Voice 광주비엔날레 30주년, 그 성과와 미래의 전망 (2)

지난 주에는 광주비엔날레 30년의 역사를 되돌아보고 그 성과를 짚어보았습니다. 이번에는 광주비엔날레와 더불어 국내에서 활발히 개최되고 있는 다양한 비엔날레들의 현황과 문제점, 그리고 이들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논의해보겠습니다.

2024.09.24

Art Insights

한국 동시대 미술의 주요이슈에 대하여 통찰력있는 시각을 전해드립니다.
Art Theory_Art Insight 기호자본주의와 동시대미술의 위기 (2): 가치상실의 시대

지난 회에서 “주객전도의 시대”라는 의제를 통해 본질이 비본질에 의해 호도되는 현상을 짚었다면, 이번 회에서는 ‘가치의 상실’ 문제를 다루고자 한다. 여기서 말하는 ‘가치’란 예술을 예술로 존재하게 했던 진정성, 자율성, 내적 필연성에 대한 믿음이며, 진정한 예술을 지탱하던 보이지 않는 합의를 말한다.

2025.10.21
Art Theory_Art Insight 기호자본주의와 동시대미술의 위기 (1) : 주객전도의 시대

오늘날 동시대 미술은 그 어느 때보다 화려하게 보인다. 세계 곳곳의 아트페어는 수십만 명의 관람객을 불러 모으고, 경매장에서는 새로운 기록이 세워진다. 우리나라 역시 프리즈 서울을 기점으로 아시아 미술시장의 주목을 받으며, 아트부산·아트광주 등 지역 페어까지 확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SNS 피드는 전시 인증샷으로 넘쳐나고, 블록버스터 전시는 줄 서는 관람객으로 가득하다. 그러나 이 화려한 풍경 속에서 우리는 근본적인 불안을 느끼게 된다. 작품의 의미와 예술의 본질은 점점 뒷전으로 밀려나고, 가격·브랜드·이미지 같은 외부 지표가 예술을 대신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것이 바로 ‘주객전도의 시대’다.

2025.09.23
Art+_Art Insight ‘물화시대’ (The Age of Reification) : 자본주의와 순수미술의 위기 (최종회) - Art is Art, Money is Money, Market is Market

자본주의 사회에서 예술은 더 이상 독립적이고 자율적인 차원에만 머물 수 없게 되었다. 오늘날 미술 작품은 시장의 평가 시스템 속에서 가격으로 환원되며, 작품의 생명력 또한 투자 가능성에 따라 연장되거나 사라진다.

2025.08.12
Art+_Art Insight ‘물화시대’ (The Age of Reification) : 자본주의와 순수미술의 위기 (9) - 컬렉터의 욕망 구조 분석 - 수집은 ‘가치 저장’인가, ‘사회적 표상’인가?

“누가 그 작품을 샀는가?” 예술작품을 둘러싼 이 질문은 종종 작품 자체의 미학적 가치나 철학보다 더 큰 힘을 발휘한다. 오늘날의 컬렉터는 단순한 구매자를 넘어, 예술의 가치를 구조화하고 서사를 부여하는 권력적 행위자다.

2025.07.29
Art+_Art Insight ‘물화시대’ (The Age of Reification) : 자본주의와 순수미술의 위기 (8) - 기호자본주의에 의하여 순수미술은 어떻게 무력화되는가

21세기 후기자본주의는 단순한 생산과 소비의 경제를 넘어, 기호와 상징이 중심이 되는 새로운 체계로 진입했다. 장 보들리야르는 이를 "기호의 정치경제학"이라 명명하며, 현대사회에서는 물질 그 자체보다 그것을 상징하는 기호가 더 큰 가치를 갖는다고 진단했다. 이때 상품은 단순한 물건이 아닌, 기호의 집합이자 사회적 코드가 된다.

2025.07.15
Art+_Art Insight ‘물화시대’ (The Age of Reification) : 자본주의와 순수미술의 위기 (7) - AI 시대, 순수미술은 어떻게 존재해야만 하는가?

순수미술은 언제나 인간 정신의 가장 깊은 지층을 건드려 왔다. 그것은 단지 미적 대상을 만드는 기술이 아니라, 살아 있는 인간이 ‘자기 자신을 이해하려는’ 행위였다. 인간은 도구를 사용하면서 진화를 거듭해왔지만, 시를 쓰고 그림을 그리며 자신 안의 감정을 외화하는 순간, 실용의 경계를 넘어서 정신의 세계로 진입한다. 예술은 바로 이 경계에서 발명되었고, 문명을 정의해온 본질적 행위였다.

2025.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