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rtists - K-ARTNOW
K-Artists
2000년대 이후 한국 동시대 미술계를 대표하는 작가들을
매 주 세 명씩 엄선하여 소개합니다.

NextGen:
3 K-Artists This Week

NextGen K-Artists Library

Made possible by

Pink Tab shuffle

New Artists

Articles [비평] 폐허의 팬 정유진은 폐허를 좋아하는 사람이다. 그는 폐허에 관한 이미지를 수집하고, 그것을 자신의 손으로 재생산하는 행위를 반복한다. 희망 없음과 좌절의 형체를 만들면서 무려 일종의 위트를 사용하기도 한다.
2022
Articles 작가 고요손, 가변적인 관계 안에서 만들어지는 탈경계적 조각 고요손(b. 1995)은 작가 내면의 세계와 우리가 사는 세상이 유기적으로 만나는 조각을 만들어 왔다. 작가는 전통적인 조각의 재료로 사용되지 않는 일상 속 다양한 사물들 가운데서 새로운 감각을 발견하고, 그 형태를 다양한 시공간적 맥락 안에서 변주시킨다.
2025.05.12

Emerging Artists

Exhibitions “시공 시나리오” 2024년 7월 7일까지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본관에서 개최 서울시립미술관은 “시공 시나리오”를 4월 4일부터 7월 7일까지 서소문본관에서 개최한다.
2024.04.02
Articles [칼럼] 김희천: 질주하는 세계에서, 예속된 합의점 너머로 김희천(1989년생) 한예종 건축과 졸업, 헤이워드갤러리(2023), 아트선재센터(2019), 샌프란시스코 아시아미술관, 두산갤러리 뉴욕(2018), 커먼센터(2015) 등에서 개인전을 가졌다.
2023

Mid-Career Artists

Activities 성기웅 김민애 김영나 차재민 작가 두산연강예술상 수상 두산그룹 연강재단은 4일 서울 종로구 연지동 두산아트센터에서 ‘제4회 두산연강예술상’ 시상식을 열었다. 왼쪽부터 성기웅 김민애 수상자와 박용현 연강재단 이사장, 김영나 차재민 수상자. 두산그룹 제공두산그룹 연강재단은 4일 서울 종로구 연지동 두산아트센터에서 박용현 이사장이 참석한 가운데 ‘제4회 두산연강예술상’ 시상식을 열었다.
2013.10.05

Late Mid-Career Artists

Articles [비평] 소망의 정원, 증상의 봉헌물(Ex-voto) : 이교도와 퀴어 데릭 저먼(Derek Jarman, 1942~1994)이라는 인물과 오준수(1964~1998)라는 인물이 있다. 두 사람은 1990년 중반 에이즈 합병증으로 사망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사망하기 전 두 사람은 모두 게이 인권 운동에 참여하기도 했다.
2019.06.13
The One & Only Place
Where Korean Contemporary Art
Meets the World Every Moments
Join for Newsletters

& limited access to news & exhibitions

Follow Us on Social Media

Pre-Established Artists

Exhibitions “마니에라 Maniera”전 2023년 12월 16일까지 두산갤러리에서 개최 지금 한국 동시대 미술을 이끄는 대표 작가들에는 누가 있는지 살펴보고 싶다면 12월 16일까지 진행되는 두산갤러리리의 “마니에라 Maniera”전을 살펴보자.
2023.11.22
Articles 작가 성낙희의 추상회화: 평면 위의 리듬 성낙희(b. 1971)는 회화의 가장 기본적인 표현요소인 점, 선, 면을 통해 음악과도 같은 리듬과 운율, 혹은 자유롭게 유영하는 색들의 운동감을 통한 유기체적인 추상회화를 지속적으로 선보여 왔다.
2024.11.19

Established Artists

Exhibitions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정면에 설치된 이불의 신작 조각 ‘Long Tail Halo’ 한국을 대표하는 작가 이불의 신작 조각 〈Long Tail Halo〉 시리즈 4점이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이하 메트) 정면에 설치되었다. 메트에서 한국 작가의 작품을 파사드에 선보이는 것은 이불 작가가 처음이다.
2024.11.12
Articles [비평] 이불의 ‘몸’, 그 불투명한 껍질 새천년이 시작되기 직전인 1990년대는 어떤 세기말보다도 더 큰 격변을 겪은 시기다. 미술도 예외가 아니어서 이 시기는 한국 동시대 미술사를 바꾸어 놓은 변곡점으로, 현재의 미술 현상도 그 단초는 이 시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January,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