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atured Articles - K-ARTNOW
Featured Articles
한국 동시대 미술의 다채로운 시각과 스토리를 전합니다.

Latest Articles

Art+_Art Insight ‘물화 시대’ (The Age of Reification) : 자본주의와 순수미술의 위기 (9) - 컬렉터의 욕망 구조 분석 - 수집은 ‘가치 저장’인가, ‘사회적 표상’인가? “누가 그 작품을 샀는가?” 예술작품을 둘러싼 이 질문은 종종 작품 자체의 미학적 가치나 철학보다 더 큰 힘을 발휘한다. 오늘날의 컬렉터는 단순한 구매자를 넘어, 예술의 가치를 구조화하고 서사를 부여하는 권력적 행위자다.
2025.07.29

Made possible by

Art Voice

Critical discourse and voices on key issues in the Korean contemporary art scene.
Art+_Art Voice 올드 보이의 귀환, 그들의 ‘복귀’가 의미하는 바

2025년, 한국 문화예술계를 대표하는 두 원로가 주요 문화기관의 수장으로 복귀했다. 유홍준 전 문화재청장은 국립중앙박물관장으로, 윤범모 전 국립현대미술관장은 광주비엔날레 대표이사로 각각 취임했다. 두 사람 모두 미술사학자이자 저명한 비평가, 기획자로서의 경력을 갖추고 있으며, 이들의 복귀는 ‘연륜’과 ‘안정감’에 대한 기대를 모은다.

2025.07.29
Art+_Art Voice 흑인 아티스트는 왜 지금 ‘대세’가 되었는가? 두 개의 PC를 통해 바라본 흑인 아티스트의 부상과 한국 동시대 미술의 미래

2020년대 들어 세계 미술계는 빠르게 재편되고 있다. 특히 주목되는 변화는 흑인 아티스트에 대한 전례 없는 관심이다. 주요 미술관의 전시, 글로벌 아트페어의 수요, 컬렉터의 구매 목록 모두가 이 흐름을 반영하고 있다. 그러나 이 현상은 단지 하나의 유행을 넘어, 두 개의 문화적 흐름—포스트식민주의(Postcolonialism, 탈식민주의)와 정치적 올바름(Political Correctness, 이하 PC주의)이 결합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2025.07.22
Museum_Art Voice 론 뮤익 전시와 미술관의 블록버스터화 : 공공미술관의 역할과 가치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열리고 있는 호주 극사실주의 조각가 론 뮤익의 전시는 하루 5,000명 이상의 관람객을 모으며 두 달 만에 50만 명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다고 한다.

2025.07.08
Museum_Art Voice 서울시립 사진미술관 개관에 즈음하여

2025년 5월 29일, 서울 도봉구 창동에 ‘서울시립 사진미술관(Photography Seoul Museum of Art)’이 문을 연다. 국내 최초의 사진 매체 특화 공립미술관으로서, 오랜 준비 끝에 마침내 현실이 된 이 공간은 단순한 미술관 개관을 넘어선 역사적 사건이다.

2025.05.27
Art Fair_Art Voice ‘아트부산 2025’ 리뷰 : 아트페어를 넘어 플랫폼을 꿈꿨던 아트부산, 무엇을 얻고 무엇을 잃었는가?

2025년 5월 11일, 부산 해운대구 벡스코에서 나흘간 열린 ‘아트부산 2025’가 막을 내렸다. 올해로 14회를 맞은 이 아트페어는 17개국 109개 갤러리가 참여하며 다시 한 번 부산을 동아시아 현대미술의 거점으로 부각시키고자 했지만, 결과는 반전보다는 현실의 반영에 가까웠다.

2025.05.13
Art+_Art Voice 예술정책유감: 문체부의 'AI 시대의 예술' 이야기

2025년 4월 24일, 서울 아트코리아랩에서 문화체육관광부 주최로 열린 ‘오후 3시의 예술정책 이야기’는 'AI 시대의 예술'을 주제로 삼았지만, 기대와는 달리 깊이 있는 문제의식에 이르지는 못했다.

2025.04.29
The One & Only Place
Where Korean Contemporary Art
Meets the World Every Moments
Join for Newsletters

& limited access to news & exhibitions

Follow Us on Social Media

Art Insights

Providing insightful perspectives and in-depth analysis of Korean contemporary art.
Art+_Art Insight ‘물화 시대’ (The Age of Reification) : 자본주의와 순수미술의 위기 (9) - 컬렉터의 욕망 구조 분석 - 수집은 ‘가치 저장’인가, ‘사회적 표상’인가?

“누가 그 작품을 샀는가?” 예술작품을 둘러싼 이 질문은 종종 작품 자체의 미학적 가치나 철학보다 더 큰 힘을 발휘한다. 오늘날의 컬렉터는 단순한 구매자를 넘어, 예술의 가치를 구조화하고 서사를 부여하는 권력적 행위자다.

2025.07.29
Art+_Art Insight ‘물화 시대’ (The Age of Reification) : 자본주의와 순수미술의 위기 (8) - 기호자본주의에 의하여 순수미술은 어떻게 무력화되는가

21세기 후기자본주의는 단순한 생산과 소비의 경제를 넘어, 기호와 상징이 중심이 되는 새로운 체계로 진입했다. 장 보들리야르는 이를 "기호의 정치경제학"이라 명명하며, 현대사회에서는 물질 그 자체보다 그것을 상징하는 기호가 더 큰 가치를 갖는다고 진단했다. 이때 상품은 단순한 물건이 아닌, 기호의 집합이자 사회적 코드가 된다.

2025.07.15
Art+_Art Insight ‘물화 시대’ (The Age of Reification) : 자본주의와 순수미술의 위기 (7) - AI 시대, 순수미술은 어떻게 존재해야만 하는가?

순수미술은 언제나 인간 정신의 가장 깊은 지층을 건드려 왔다. 그것은 단지 미적 대상을 만드는 기술이 아니라, 살아 있는 인간이 ‘자기 자신을 이해하려는’ 행위였다. 인간은 도구를 사용하면서 진화를 거듭해왔지만, 시를 쓰고 그림을 그리며 자신 안의 감정을 외화하는 순간, 실용의 경계를 넘어서 정신의 세계로 진입한다. 예술은 바로 이 경계에서 발명되었고, 문명을 정의해온 본질적 행위였다.

2025.07.01
Art+_Art Insight 물화시대 (The Age of Reification) : 자본주의와 순수미술의 위기(6) - 누구를 위해 공공지원 프로그램은 존재하는가?

공공성은 예술의 최후 방어선이었다. 예술이 시장 논리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할 수 있는 유일한 장치, 자본의 속도에 휘둘리지 않고 창작의 본질적 가치를 옹호할 수 있는 유일한 공간이 바로 공공기관의 예술지원이었다. 하지만 지금, 한국의 공공 예술지원 제도는 더 이상 그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

2025.06.17
Art Market_Art Insight 물화시대 (The Age of Reification) : 자본주의와 순수미술의 위기(5) - 옥션과 아트페어, 그들은 순수미술의 파괴자인가? 창조자인가?

오늘날 세계 미술시장에서 옥션과 아트페어는 단순한 유통 채널이나 일시적 축제가 아니다. 옥션은 '가격'이라는 수치를 통해 예술의 질을 판단하게 만들며, 아트페어는 시장의 반응에 민감한 작품들의 반복적 생산과 즉각적 소비의 사이클을 구축함으로써 이제 그들은 자본의 힘을 바탕으로 미술계의 중심축이자 시장의 방향성은 물론 예술가의 생존 조건까지 좌우할 정도의 힘을 갖게 되었다.

2025.06.03
Art Theory_Art Insight 물화시대 (The Age of Reification) : 자본주의와 순수미술의 위기(4) – 왜 한국 동시대 미술 비평은 몰락했는가

한국 동시대 미술계는 지금, 비평의 부재라는 깊은 침묵 속에 놓여 있다. 전시장은 넘쳐나고 작품은 미술시장의 거래를 통하여 빠르게 소비되지만, 그 모든 흐름을 해석하고 견제하며 의미를 새기는 비평의 목소리는 거의 들리지 않는다.

2025.05.20

Art Focus

Key news on Korean contemporary art, clearly and thoughtfully delivered.

Art Spectrum

Introducing the latest trends and diverse movements in Korean contemporary a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