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의 핫 이슈는 키아프와 프리즈 아트페어 개최를 계기로, 최근 대한민국 미술계에서 불고 있는 아트페어 붐에 대해 3회에 걸쳐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2024.08.27자본주의 사회에서 예술은 더 이상 독립적이고 자율적인 차원에만 머물 수 없게 되었다. 오늘날 미술 작품은 시장의 평가 시스템 속에서 가격으로 환원되며, 작품의 생명력 또한 투자 가능성에 따라 연장되거나 사라진다.
2025.08.12“누가 그 작품을 샀는가?” 예술작품을 둘러싼 이 질문은 종종 작품 자체의 미학적 가치나 철학보다 더 큰 힘을 발휘한다. 오늘날의 컬렉터는 단순한 구매자를 넘어, 예술의 가치를 구조화하고 서사를 부여하는 권력적 행위자다.
2025.07.2921세기 후기자본주의는 단순한 생산과 소비의 경제를 넘어, 기호와 상징이 중심이 되는 새로운 체계로 진입했다. 장 보들리야르는 이를 "기호의 정치경제학"이라 명명하며, 현대사회에서는 물질 그 자체보다 그것을 상징하는 기호가 더 큰 가치를 갖는다고 진단했다. 이때 상품은 단순한 물건이 아닌, 기호의 집합이자 사회적 코드가 된다.
2025.07.15순수미술은 언제나 인간 정신의 가장 깊은 지층을 건드려 왔다. 그것은 단지 미적 대상을 만드는 기술이 아니라, 살아 있는 인간이 ‘자기 자신을 이해하려는’ 행위였다. 인간은 도구를 사용하면서 진화를 거듭해왔지만, 시를 쓰고 그림을 그리며 자신 안의 감정을 외화하는 순간, 실용의 경계를 넘어서 정신의 세계로 진입한다. 예술은 바로 이 경계에서 발명되었고, 문명을 정의해온 본질적 행위였다.
2025.07.01공공성은 예술의 최후 방어선이었다. 예술이 시장 논리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할 수 있는 유일한 장치, 자본의 속도에 휘둘리지 않고 창작의 본질적 가치를 옹호할 수 있는 유일한 공간이 바로 공공기관의 예술지원이었다. 하지만 지금, 한국의 공공 예술지원 제도는 더 이상 그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
2025.06.17오늘날 세계 미술시장에서 옥션과 아트페어는 단순한 유통 채널이나 일시적 축제가 아니다. 옥션은 '가격'이라는 수치를 통해 예술의 질을 판단하게 만들며, 아트페어는 시장의 반응에 민감한 작품들의 반복적 생산과 즉각적 소비의 사이클을 구축함으로써 이제 그들은 자본의 힘을 바탕으로 미술계의 중심축이자 시장의 방향성은 물론 예술가의 생존 조건까지 좌우할 정도의 힘을 갖게 되었다.
2025.0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