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atured Articles - K-ARTNOW
Featured Articles
한국 동시대 미술의 다채로운 시각과 스토리를 전합니다.

Latest Articles

Art Online_Art Voice 사람은 이름을 남기고 작가는 작품을 남긴다. 웹사이트는 작가 평생의 기록이다. 한국 동시대 미술의 현장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한 가지 놀라운 사실이 있다. 수많은 전시와 프로젝트가 매주 열리지만, 정작 작가 자신을 체계적으로 기록한 공식 웹사이트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2025.10.28
Art+_Art Voice 세계 속의 K-컬처, K-아트의 미래 2025.10.14

Made possible by

Art Focus

매 주 하나의 주요 뉴스를 선별하여 심도있게 전달합니다.

Art Spectrum

한국 동시대 미술의 다채로운 흐름과 트렌드를 담아냅니다.
The One & Only Place
Where Korean Contemporary Art
Meets the World Every Moments
Join for Newsletters

& limited access to news & exhibitions

Follow Us on Social Media

Art Voice

한국 동시대 미술계의 다양한 목소리를 현장감있게 전합니다.
Art Online_Art Voice 사람은 이름을 남기고 작가는 작품을 남긴다. 웹사이트는 작가 평생의 기록이다.

한국 동시대 미술의 현장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한 가지 놀라운 사실이 있다. 수많은 전시와 프로젝트가 매주 열리지만, 정작 작가 자신을 체계적으로 기록한 공식 웹사이트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2025.10.28
Art+_Art Voice 세계 속의 K-컬처, K-아트의 미래

최근에도 여전히 K-컬처의 확장은 멈추지 않고 있다. 리스본에서 열린 <뮤직뱅크 인 리스본> 공연은 IVE, 태민, RIIZE 등 여러 아티스트들이 참여해 2만여 명의 팬을 모았다. 단발성 이벤트가 아닌, 유럽 현지 팬덤을 기반으로 한 공연 기획과 실연 체계가 작동하고 있었다.

2025.10.14
Art+_Art Voice 퐁피두 부산 분관 설립: 세계적 도약의 환영인가, 지역 몰락의 함정인가

최근 부산은 세계적으로 많은 관광객이 찾는 도시로 떠오르고 있다. 항만과 해양 관광 인프라, 영화와 음악 축제, 그리고 K-컬처의 확산이 맞물리면서 글로벌 방문객 수는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부산시는 이러한 시대적 흐름 속에서 단순한 관광지를 넘어 세계적인 문화예술의 도시로 자리매김하겠다는 비전을 내세우고 있다.

2025.09.16
Art Fair_Art Voice Kiaf SEOUL 2025: 공진의 파동, 서울을 흔드는 예술의 미래

2025년 9월, 서울은 다시 한 번 세계 미술의 주목을 받는다. 코엑스에서 열리는 Kiaf SEOUL 2025는 24회를 맞아 ‘공진(Resonance)’을 기치로 내걸었다. 시장의 외형적 확장보다, 예술 생태계의 주체들이 서로의 울림을 공유하며 더 깊은 차원의 구조를 만들어가겠다는 의지다.

2025.08.26
Art Market_Art Voice ‘미술시장 활성화 법안’ 논의 5시간… 작가보상금 제도·미술서비스업 신고제·세제 개선 등 논의… “현장 실태 없는 법안 중심 접근” 비판

2025년 8월 8일 오후 1시, 국회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미술시장 활성화를 위한 법적 지원방안’ 정책 세미나가 5시간 넘게 진행됐다. 김승수·박수현 국회의원과 (사)한국화랑협회, (사)한국문화예술법학회,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이 공동 주최한 이번 세미나에는 법조계, 학계, 미술계 인사가 대거 참여했다.

2025.08.12
Art+_Art Voice 올드 보이의 귀환, 그들의 ‘복귀’가 의미하는 바

2025년, 한국 문화예술계를 대표하는 두 원로가 주요 문화기관의 수장으로 복귀했다. 유홍준 전 문화재청장은 국립중앙박물관장으로, 윤범모 전 국립현대미술관장은 광주비엔날레 대표이사로 각각 취임했다. 두 사람 모두 미술사학자이자 저명한 비평가, 기획자로서의 경력을 갖추고 있으며, 이들의 복귀는 ‘연륜’과 ‘안정감’에 대한 기대를 모은다.

2025.07.29

Art Insights

한국 동시대 미술의 주요이슈에 대하여 통찰력있는 시각을 전해드립니다.
Art+_Art Insight 물화시대 (The Age of Reification) : 자본주의와 순수미술의 위기(6) - 누구를 위해 공공지원 프로그램은 존재하는가?

공공성은 예술의 최후 방어선이었다. 예술이 시장 논리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할 수 있는 유일한 장치, 자본의 속도에 휘둘리지 않고 창작의 본질적 가치를 옹호할 수 있는 유일한 공간이 바로 공공기관의 예술지원이었다. 하지만 지금, 한국의 공공 예술지원 제도는 더 이상 그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

2025.06.17
Art Market_Art Insight 물화시대 (The Age of Reification) : 자본주의와 순수미술의 위기(5) - 옥션과 아트페어, 그들은 순수미술의 파괴자인가? 창조자인가?

오늘날 세계 미술시장에서 옥션과 아트페어는 단순한 유통 채널이나 일시적 축제가 아니다. 옥션은 '가격'이라는 수치를 통해 예술의 질을 판단하게 만들며, 아트페어는 시장의 반응에 민감한 작품들의 반복적 생산과 즉각적 소비의 사이클을 구축함으로써 이제 그들은 자본의 힘을 바탕으로 미술계의 중심축이자 시장의 방향성은 물론 예술가의 생존 조건까지 좌우할 정도의 힘을 갖게 되었다.

2025.06.03
Art Theory_Art Insight 물화시대 (The Age of Reification) : 자본주의와 순수미술의 위기(4) – 왜 한국 동시대 미술 비평은 몰락했는가

한국 동시대 미술계는 지금, 비평의 부재라는 깊은 침묵 속에 놓여 있다. 전시장은 넘쳐나고 작품은 미술시장의 거래를 통하여 빠르게 소비되지만, 그 모든 흐름을 해석하고 견제하며 의미를 새기는 비평의 목소리는 거의 들리지 않는다.

2025.05.20
Art Theory_Art Insight ‘물화시대’ (The Age of Reification) : 자본주의와 순수미술의 위기 (3) - Art as a Money Game

언제부터인가 ‘좋은 작품’이라는 말이 미술시장에서 사라졌다. 대신 ‘오르는 작가’, ‘완판된 전시’, ‘잘 팔리는 시리즈’ 같은 말들이 시장의 언어를 지배한다. 작품의 가치는 감동이나 의미로 평가되지 않는다.

2025.04.29
Art Theory_Art Insight '물화시대' (The Age of Reification) : 자본주의와 순수미술의 위기 (2) – 미술의 고유가치는 사용가치와 교환가치에 의하여 어떻게 왜곡되는가?

우리는 일상 속에서 ‘가치’라는 단어를 자주 접하지만, 그 의미는 결코 단일하지 않다. 특히 자본주의 체제 아래에서 ‘가치’는 너무나도 손쉽게 ‘가격’으로 환산된다. 예술 역시 이 흐름에서 자유롭지 않다. 작품의 진정한 의미나 창작의 내적 필연성은 점차 뒷전으로 밀리고, 시장에서의 거래 가능성과 투자 수익률이 예술의 가치를 좌우하는 결정적 요소로 작동하고 있다.

2025.04.15
Art Theory_Art Insight '물화시대' (The Age of Reification) : 자본주의와 순수미술의 위기 (1)

21세기 초입의 미술계는 빠르게 변화하는 자본주의 체계와 기술혁명, 세계화의 물결 속에서 깊은 전환기를 맞이하고 있다. 이 변화는 단순한 시대의 흐름이 아니라, 미술이 존재하는 본질적 조건 자체를 흔드는 지각변동이다.

2025.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