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환기 1971년 작 〈19-VI-71 #206〉 /Photo: Christie's

한국 추상미술의 선구자 김환기(1913–1974)의 전면점화 대작〈19-VI-71 #206〉이 11월 17일 열린 뉴욕 크리스티 ‘20세기 이브닝 세일’에서 최종 840만 달러(약 123억 1,600만 원)에 낙찰되었다.
 
구매자 수수료(Buyer’s Premium)를 포함한 최종 실구매가는 1,029만 5,000달러(약 151억 원)로, 한국 현대 미술 경매 사상 두 번째로 높은 기록이다.


〈우주 (Universe 5-IV-71 #200)〉 / 사진: 갤러리현대

이번 작품은 추정가 7.5–10백만 달러(약 110억~146억 원) 였으며, 2019년 홍콩 경매에서 약 132억 원(수수료 포함 153억 원)에 낙찰돼 한국 최고 경매가를 세운 김환기의 〈우주 (Universe 5-IV-71 #200)〉에는 다소 미치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작품이 뉴욕 ‘본시장’ 이브닝 세일에서 이 같은 가격에 거래되었다는 점에서 역사적 의미는 결코 작지 않다.
 
 
 
전면점화의 정점기인 1971년작… 희소성과 규모에서 돋보여
 
〈19-VI-71 #206〉은 가로 254cm, 세로 203츠에 이르는 대형 캔버스에 점들이 방사선처럼 확산하며 무한한 우주 공간을 형성하는 작품이다. 화면 하단의 에메랄드빛 색대는 상부보다 더 깊은 색층을 이루며 신비롭고 초월적인 분위기를 강화한다.
 
크리스티는 1970년대 초 김환기의 대형 전면점화 가운데 200호 이상 규모는 전체 30점 이내로 추정된다고 밝히며 해당 작품의 희소성과 미술사적 중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1971년 작품군은 김환기 화력이 절정에 도달한 해로 평가되는 만큼, 이번 출품이 최고가 경신 여부에서 큰 관심을 모았던 이유다.
 
 
 
한국 추상미술의 뉴욕 본시장 진입… 앞으로의 전망

이번 낙찰은 단순한 가격 기록을 넘어 한국 추상미술이 뉴욕 본시장(Main Market) 에서 당당히 경쟁력을 증명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전환점이다.
 
20세기 거장들이 모이는 크리스티 이브닝 세일 카테고리에 김환기 작품이 올라 갔다는 사실만으로도 한국 미술의 국제적 위상을 가시적으로 끌어올린 사건으로 평가된다.
 
이번〈19-VI-71 #206〉의 크리스티 뉴욕의 경매 참가 및 낙찰은 한국 현대미술이 세계 시장 중심부에서 재평가되는 좋은 계기라 할 수 있다.
 
최고가는 아니었지만, 한국 작품이 뉴욕 이브닝 세일 무대에서 1,000만 달러 이상에 판매된 사실 자체는 향후 한국 추상회화와 전후 작가군에 대한 국제적 관심을 더욱 불러일으킬 것으로 예상된다.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