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15회 광주비엔날레 작품 해포식 ©광주비엔날레
제15회 광주비엔날레 “판소리, 모두의 울림(Pansori, a soundscape of the 21st century)”
전시와 연계한 관객 지향적 시각을 강조하는 프로그램이 전시기간 동안 밀도 있게 진행된다. 특히
전시 주제 및 전시물을 매개로 해석과 참여를 유도하는 공공프로그램으로 ‘어린이 참여 프로그램’, ‘GB토크’ 등이 마련되어 시민의 참여와 관심을 높인다.
‘GB토크’ 작가와의 대화
제15회 광주비엔날레 전시와 작품에 대한 심층 감상 기회를 제공하는 ‘GB토크’는 전시기간 내 문화가 있는 수요일을 포함 총 5회 이루어진다.
먼저, 오는 9월 5일 본전시 참여작가인 캔디스 윌리엄스(Kandis Williams), 나
미라(Na Mira), 김영은, 아몰 케이 파틸(Amol K Patil), 노엘 W. 앤더슨(Noel W. Anderson)의 참여로 첫 번째 대화가 이루어지며, 9월 14일에는 양림동 전시 공간에서 김자이 작가의 워크숍을 진행한다.
‘GB토크’는 문화예술에 관심 있는 일반 시민 누구나 신청 가능하며, 자세한 내용은 광주비엔날레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심포지엄 “새로운 울림: 인류세 시대의 예술과 기술” 개최
본전시와 연계한 소리, 기술,
문화의 교차점을 탐구하는 학술 심포지엄이 9월 8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문화정보원 극장3에서 개최되었다. 뉴욕
구겐하임 미술관이 협력기관으로 함께 한 이번 심포지엄 연사로는 제15회 광주비엔날레 참여작가인 마리나
로젠펠드(Marina Rosenfeld), 야콥 쿠즈크 스틴센(Jakob
Kudsk Steensen), 성 티우(Sung Tieu) 등이 참여하였다.
제14회 광주비엔날레 전시 전경
©광주비엔날레어린이 참여 프로그램
제15회 광주비엔날레와 연계해서 9월 14일부터 전시 기간 동안 어린이와 함께하는 프로그램이 광주비엔날레
전시관과 거시기홀 등에서 운영된다. 어린이 참여 프로그램인 ‘나의
판, 소리’, ‘GB 작은 숲’은 초등학교 고학년(4~6학년)을
대상으로 전문 도슨트와 함께 작품을 감상한 후 진행되는 체험프로그램이다.
소리를 이해하며 나만의 소리를 그림으로 표현하는 ‘나의 판, 소리’와 생태계 전반을 조망하고 자신의 생태계로 연결하는 공예작품을
창작할 수 있는 ‘GB 작은 숲’을 통해 본전시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한다. 해당 프로그램은 9월 14일부터 전시 기간 내 격주 토요일 오전 10시, 오후 2시 각각 진행된다.
전시해설과 스크립트 작성의 기본을 이해하고, 어린이가 직접 전시
설명을 해볼 수 있는 어린이 도슨트 프로그램도 전시기간 중 매월 1회,
셋째 주 일요일인 9월 15일, 10월 13일, 11월 10일 오후 2시에 진행한다. 관련
교육 자료는 광주비엔날레 홈페이지에 공개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