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사가이자 평론가인
진휘연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교수가 한국
현대미술의 현장을
전시를 통해
분석한 신간
“전시로 풀어보는 한국 현대미술”
(헥사곤)을 출간했다. 이
책은 지난 25년간
한국 현대미술계를 대표하는
주요 전시를
돌아보며,
그 속에서
드러난 한국
미술의 변화와
흐름을 조명한다.

신간 “전시로 풀어보는 한국 현대미술” 책표지
2000년 이후 한국 현대미술의 특징
저자는
2000년 이후
한국 현대미술의 특징을
네 가지로
정리하며 이를
바탕으로 미술계의
변화를 분석했다.
대형 전시장의 증가:
2002년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본관 개관과 2013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개관 등으로
대규모 전시
공간이 확충되며, 한국
미술의 물리적
인프라가 크게
성장했다.
세계화와 유행의 반영:
소셜네트워크(SNS)의 발달로
이미지와 해시태그
키워드가 작품의
의미를 빠르게
전달하며,
미술 비평은
과거처럼 논의를
주도하는 위치에서
물러났다고 진단한다.
비평의 약화와 시장의 대두:
미술 비평이
무력화된 이후, 아트페어와 같은
시장이 이를
대체하며 평가
시스템을 스스로
구축하고 있다. 특히, 작품
판매뿐 아니라
이론,
비평,
역사적 맥락을
함께 제시하는
아트페어가 증가하고
있다.
다양한 키워드로 분석한 전시:
'유토피아',
'인터미디어',
'미술과 정치' 등의
키워드를 통해
지난
25년간의 전시를
조망하며 한국
현대미술의 흐름을
재조명했다.
주요 전시와 그 의미 :
책은
25년 동안의
주요 전시와
작가들의 작업을
분석하며 한국
현대미술의 지형도를
그려낸다.
대표적인 전시는
다음과 같다:
서도호 개인전 (2012, 리움미술관):
작가의 대표작 '서울
집'과 '투명한
집'
시리즈가 소개되며, 한국적
정체성과 공간의
의미를 탐구한
작품들로 구성되었다.
이기봉 개인전 (2003, 2008, 국제갤러리):
'기억과 장소'를
중심으로 설치미술의 가능성을
확장하며,
공간에 대한
독창적 해석을
보여준 전시로
평가받는다.
‘신호탄’전 (2009, 국립현대미술관 기무사터):
서울관 건립
이전 기무사터에서 열린
대규모 전시로, 공공미술과 역사적
장소의 의미를
연결한 실험적
전시였다.
이형구 개인전 (2010, 두산갤러리):
생명과 기술,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탐구한 작품들로, 특히
작가의 대표작 '생명체
조각'
시리즈가 주목을
받았다.
노상균 개인전 (2001, 갤러리현대):
1980년대와
1990년대 한국
사회의 정치적, 문화적
전환기를 반영한
작업으로,
사회적 메시지와
미학적 깊이를
결합한 전시로
평가받는다.
저자의 관점과 의도
저자는
“1995년 유학을
마치고 귀국한
이후 한국의
전시 현장을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비평문을 작성했다”며, 이번
책에 의미
있다고 여긴
전시와 작가들을
선정해 한국
미술의 역사적
맥락을 되살리고자 했다고
설명했다.
368쪽으로
구성된 이
책은 전시를
통해 한국
현대미술의 역사적
흐름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중요한
기록이자,
미술 애호가와
연구자들에게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