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성원(b. 1972)은 직접 촬영하거나 수집한 수많은 이미지들을 정교하게 콜라주하여 하나의 프레임 안에 직조해 왔다. 그렇게 완성된 그림과 같은 환상적인 이미지는 작가 자신의 이야기, 주변의 이야기, 또는 우리 사회 구성원들에 대한 소소한 이야기들을 우화적인 방식으로 담고 있다.

원성원, 〈My Life〉, 1999 ©원성원

한국에서 조소를 공부한 후 독일로 유학을 떠난 작가는 그곳에서 사소하고 내밀한 이야기들을 이미지를 통해 엮어내는 현재의 콜라주 작업을 시작하게 되는 계기를 맞이하게 된다. 당시 학업중단의 위기에 처한 작가는 자신이 살고 있던 2x4 m 넓이의 작은 방으로 돌아와 그곳에 있던 모든 물건들을 촬영하기로 한다.

약봉투, 엄마의 편지, 양말, 먹다 만 빵조각 등 모든 잡다한 것들을 촬영한 총 628장의 사진과 관련 메모들을 모아 제작한 설치 작업 〈My Life〉(1999)은 크고 개념적인 작업에서 작지만 내적 필연성이 있는 작업으로 전환하게 되는 계기를 마련했다.

원성원, 〈Dreamroom-Seoungwon〉, 2003 ©원성원

원성원은 〈My Life〉를 계기로 공간과 개인의 관계를 추적하는 작업들을 시작하게 된다. 이러한 관심사과 함께 그 다음 작으로 선보인 〈Dreamroom〉(2000-2004)은 공간에 대한 개인들의 다양한 욕망을 디지털 합성 기술을 통해 실현시켜 주는 연작으로, 작가 원성원의 작업 세계의 시작을 보여주는 작업이다.

원성원, 〈Dreamroom-Tina〉, 2000 ©국립현대미술관

작가는 자신을 비롯해 주변 친구들이 원하는 이상적인 공간을 구현하기 위해 그에 적합한 이미지를 찾아 여러 지역을 돌아다니며 촬영한 다음, 포토샵을 이용해 실제 방 사진 위에 이질적인 풍경을 정교하게 합성했다. 그렇게 만들어진 총 12개의 작업들은 평범한 원룸 가운데에 늪이 존재하는 등 현실에서는 불가능한 비현실적인 기상의 풍경들로 이루어져 있다.

원성원, 〈내일(Tomorrow)-종로구 쌍백리 이야기〉, 2008 ©대안공간 루프

이후 원성원은 그의 첫 개인전 “투모로우(Tomorrow)”(대안공간 루프, 2008)를 가지며 그의 실제 지인들의 지극히 평범하고 사적인 이야기들을 이용하여 만든 가상의 풍경 시리즈 〈Tomorrow〉(2008)을 선보였다.

〈Tomorrow〉 시리즈는 과거 또는 현재에 일어난 사건들을 바탕으로 한 작가의 공상에서 출발한다. 작가는 가족, 친구, 동료 등 주변 지인들을 주인공으로 삼고 구체적인 상황을 설정해 이에 적합한 이미지들을 찾아 전국을 돌아다니며 채집했다. 결과적으로 다양한 장소의 이미지 파편들을 통해 완성된 작업 안에는 과거, 현재, 그리고 작가가 상상한 미래가 뒤엉켜 혼성적인 가상의 시공간을 이루게 된다.

원성원, 〈일곱 살-카오스 부엌〉, 2010 ©원성원

한편 2010년에 선보인 〈일곱 살〉 시리즈는 성인이 된 이후 다시 마주하게 된 작가의 어린 시절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작가가 일곱 살이 되었을 당시 그의 어머니는 직장에 다니기 시작하며 어린 원성원과 떨어져야 했다. 작가에게 있어서 이러한 어머니와의 첫 분리의 경험은 영혼과 육체에 강한 흔적을 남긴 중요한 사건으로 각인되었고, 성인이 된 이후까지도 무의식 속에 자리잡으며 영향을 미쳐 왔다.

〈일곱 살〉 시리즈는 이러한 자신의 과거와 화해하기 위한 치유의 여정으로서의 작업이다. 총 11개의 작업으로 구성된 이 연작은, 작가의 조카를 주인공으로 등장시켜 하루 아침에 사라진 엄마를 찾아 다니는 여정을 담고 있다. 여기서 조카는 7살의 작가를 상징하고, 엄마는 나무로 대신 나타나며 상징적으로 존재를 암시할 뿐이다.

원성원, 〈일곱 살-갈매기와 배꽃 나무〉, 2010 ©원성원

오랜 시간 동안 묵혀 두었던 내면의 기억과 다시금 마주하는 과정은 우화적이고 상징적인 방식으로 화면 안에 표현되어 나타난다. 원성원은 그의 작품들 중에서 가장 내밀하고 사적인 성격을 갖고 있는 이 연작을 통해 유년기의 자기 자신과 소통할 뿐 아니라 이로써 타인과 소통한다.

자기 고백적인 내용의 작업이지만 동화책과 같은 구성과 익숙한 시각적 도상 등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누구나 쉽게 공감할 수 있는 공통의 경험으로 이끌어낸다.


원성원, “익숙한 낯섦” 전시 전경(카이스 갤러리, 2012) ©카이스 갤러리

그리고 2012년 작가는 어머니의 갑작스러운 죽음 이후 인간의 불완전한 삶을 3개의 이미지로 표현한 작업 〈어제, 오늘, 내일〉을 선보였다.

세 이미지에는 모두 바다가 등장한다. 왼쪽 이미지는 태어난 시점부터의 지나간 과거의 기억을 작은 굴과 언덕 등의 이미지들을 통해 은유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붉은 신경과 같은 촉수 가지들이 조용한 언덕 사이를 헤집고 있는데, 이는 과거의 기억이 현재에 불현듯 침투하거나 영향을 미치는 것을 상징한다.

원성원, 〈움직이는 내일〉, 2012 ©박건희문화재단

가운데 이미지는 현재를 상징한다. 적당히 밀려오는 파도에도 나무는 가라앉지 않기 위해 무언가를 움켜쥐려는 듯 하늘을 향해 가지를 뻗으며 불안한 모습으로 나타나며, 나무의 온몸에 붙어 있는 죽은 식물, 꽃, 풀 등은 스스로를 괴롭히는 여러 스트레스를 상징한다. 나무는 불안과 스트레스에 사로잡혀 있지만, 동시에 붉은 촉수 가지를 과거의 바다로 뻗어 경험을 흡수하고 기억을 끌어내며 버틸 힘을 가져오고 있다.

마지막으로, 미래를 상징하는 오른쪽 이미지에는 인생의 클라이막스를 상징하는 격렬한 바다와 결국에는 도달해야 할 죽음이라는 단단하고 고요한 땅이 등장한다.  


원성원, 〈금융인의 돌산〉, 2017 ©아라리오 갤러리

2017년 아라리오 갤러리에서의 개인전 “타인의 풍경”에서는 공직자, 금융인, 언론인 등 전문직에 해당하는 직업군을 동물과 자연 풍경으로 상징화한 대형 콜라주 사진 작업들을 선보였다. 이 작업은 작가가 여러 직종의 사람들과 교류하며 직업이 사람의 정체성을 결정하는가의 문제에 호기심을 갖게 된 데에서 출발했다.  

예를 들어, 〈금융인의 돌산〉(2017)은 황량한 돌산에서 금을 캐는 것처럼 펀드나 주식 등 무형의 가치를 자본의 가치로 이끌어내는 금융인들에 대해 표현하고 있다. 그리고 마른 나뭇가지에 달린 여러 개의 전구들과 전선들은 경제지표나 주가의 등락을 표시하는 그래프를 상징한다.  

원성원, 〈방대한 물방울〉, 2021 ©아라리오 갤러리

그리고 지난해 원성원은 뮤지엄 한미에서의 개인전 “모두의 빙점”에서 인간의 열등감과 우월함의 경계에 대해 시각화하는 작업들을 선보였다. “왜 우월한 사람도 열등감을 갖는가?”라는 본질적인 물음에서 출발한 작업은 열등감을 다루는 사람들의 모습을 얼음 산의 이미지로 표현하고 있다.

재작년 작가는 소위 사회에서 성공한 이들을 나무로 의인화하는 작업을 아라리오 갤러리에서 선보였던 바 있다. 이후 작가는 아무리 성공한 사람들에게도 그들의 우월감 이면에 열등감이 존재하며 이를 다루는 방식에 따라 다르게 발현된다고 보았고, 이를 얼음으로 비유하는 작업을 구상하게 되었다.

원성원, 〈원래 있었던 풀〉, 2022 ©원성원

열등감을 제대로 다루지 못해 꽁꽁 얼어버린 사람, 또는 자신의 모습을 잃지 않기 위해 매달리는 고드름과 같은 사람 등의 모습이 그의 얼음 산 이미지로 은유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그의 이미지 속 얼음 산은 푸른 색 잎이 다 떨어진 겨울 산의 모습이 아닌 꽝꽝 언 얼음들 사이에서 생기를 잃지 않은 풀들이 여전히 존재를 드러내고 있다.

원성원은 이러한 이미지를 통해 얼음을 이겨내고 자라나는 나무를 향한 의지를 드러내어 보이고자 했다고 말한다. 아무리 열등감이 고개를 들어 올리는 한계 상황 속에서도 나무를 키워내는 사람의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

원성원, 〈보통의 느슨한 관계망〉, 2021 ©아라리오 갤러리

이처럼 원성원은 동시대를 살아가는 개인들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 더 나아가 개인이 속한 집단을 작가만의 독특한 시각을 통해 묘사한다. 미시적이고 사적인 시각에서 출발한 그의 작업은 다양한 타인과의 대화를 통해 수집한 흔하고 작은 이야기들을 이미지로 엮어 내어 관객과 또 다른 대화를 시도한다.

“숲의 이야기보다는 숲 속에 있는 나무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는 거예요. 나무가 변해야 숲이 변하는데 사람들은 자꾸 숲 이야기만 해요. 저는 나무의 이야기가 기본이 돼야 거대한 이야기도 할 수 있다고 생각을 하거든요. 나무를 다루다 보면, 중첩되는 이야기들이 많아질 것이고 길게 봤을 때 사회적인 문제를 건드리고 있을 것이라고 생각해요.” (원성원, heypop 인터뷰, 2022.12.22)

원성원 작가 ©원성원

원성원은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조소과를 졸업하고, 독일 뒤셀도르프 쿤스트아카데미와 쾰른 미디어예술대학에서 수학했다. 뮤지엄 한미(서울, 2022-2023), 아라리오갤러리(서울, 2021, 2017), Podbielsky Contemporary(베를린, 2014), 가나아트(서울, 2010), 대안공간 루프(서울, 2008), Galerie Gana-Beaubourg(파리, 2005) 등 국내외에서 개인전을 개최했다.

또한 작가는 국립현대미술관, 토탈미술관, 도쿄 모리미술관, 상하이 현대미술관, 리버풀 비엔날레 2012 등 세계적인 기관에서 개최된 다수의 단체전 및 프로젝트에 참여한 바 있다. 원성원의 작품은 오스트 하우스 미술관(독일), 산타바바라 미술관(미국), 쿤스타우스 렘페르츠(독일), 모리미술관(일본), 국립현대미술관(한국), 한미사진미술관(한국), 서울시립미술관(한국), 경기도미술관(한국), 고은사진미술관(한국) 등 세계 유수의 기관에 소장되어 있다.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