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와 교차하는 한국의 동시대 미술 작가들: 송은 전시에 참여한 김지평, 이진주 등 17명의 작가 - K-ARTNOW
김지평 (b.1976) 대한민국, 서울

김지평은 이화여자대학교 동양화과를 졸업(1999)하고 동대학원 미술교육학과 석사학위를 취득(2001)했다. 현재 서울에서 작업하고 있다.

개인전 (요약)

김지평은 2001년 경인미술관 (서울, 한국)에서 첫 전시를 했다. 2001년부터 2012년까지 김지혜라는 이름으로 활동을 했는데 이 시기에는 주로 책가도, 문자도 등의 민화 양식, 단청의 장식성 등을 시대에 맞게 재구성한 작품을 선보였다. 2013년《찬란한 결》 (가나 컨템포러리, 서울, 한국) 전시를 계기로 동양화의 재료나 화론 등을 새로운 시선으로 해석하는 것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이후《평안도 平安圖》 (2015, 아트컴퍼니, 서울, 한국),《재녀덕고 才女德高》 (2017, 합정지구, 서울, 한국),《기암열전 奇巖列傳》 (2019, 갤러리 밈, 서울, 한국) 등 개인전을 개최했는데 가족사, 분단, 여성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작가의 관점으로 해석한 작품들을 선보였다.

그룹전 (요약)

서울시립미술관(서울, 한국), 아트스페이스풀(서울, 한국), 펑시엔 미술관(상하이, 중국), 이응노 미술관(대전, 한국), 인디프레스갤러리(서울, 한국) 등 다수의 단체전에 참가했다.

수상 (선정)

제 21회 송은미술대상전 참여작가 20인에 선정되어 전시에 참가하였다.

작품소장 (선정)

주요 작품 소장처로는 서울 시립미술관(서울, 한국),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과천, 한국), 가나아트 갤러리(서울, 한국), 하나은행(서울, 한국), 아모레 뮤지엄(서울, 한국), 한국 도자기(청주, 한국) 등이 있다.

주제와 개념

김지평은 동양화 혹은 한국화의 기법과 양식을 통해 현대의 세계관을 이야기해왔다. 김지평은 “동양화를 ‘전통의 현대화’로 번역하려는 현대미술의 오래된 관성과 ‘동시대’라는 시간 개념에 대한 지나친 강조”에 의문을 품고, 오히려 더 과거로 회귀하는 ‘의도적 시대착오’를 감행한다.

작가는 전통의 기표만을 차용하거나 반대로 전통에 잠재된 의미를 현대적으로 갱신하는 것, 둘 중 어느 한쪽에만 치우치지 않는다. 그는 전통회화, 산수화, 민화 등 동양 전통미술에서 고착화된 관념과 규칙을 직시하고 이를 독창적으로 재해석한다. 그리고 여기에 미술사적이자 사회사적으로 배제되었던 것들을 결합해 새로운 의미를 생성한다.

김지평은 2001년부터 2012년까지는 김지혜라는 이름으로 활동하였다. 이때는 주로 책가도, 문자도, 화조도 등의 민화 양식이나 단청의 장식성을 현대의 시선의 재구성하는 작업을 전개했다.

이는 작가가 일찍이 가져왔던 혼종성 즉 ‘전통-현대문화’에 대한 관심, 그리고 민예적인 요소와 동시대예술의 상호작용에 대한 고민의 발현이었다.

2013년 개인전 《찬란한 결》(가나아트 컨템포러리, 서울)을 계기로 동양화의 화론이나 재료 등을 새롭게 해석한 작품을 선보이기 시작한다.

이런 변화는 2007년 개인전 《border life》(인사아트센터, 2007)에서 보여준 관념 산수에 오늘날의 한국적인 진경(군사시설이나 고층 아파트)을 끼워 넣은 ‘미채산수’ 연작이나 2010년 무렵 동양의 신화, 설화, 역사의 서사를 작품으로 끌어오는 시도 등에서 이미 전조를 보였다.

“무엇에도 속하지 않은 상태는, 오히려 어디에도 속할 수 있는 무한한 가능성과 연결된다.”

이후 개최된 개인전 《평안도》(2015, 아트 컴퍼니 긱, 서울), 《재녀덕고》(2017, 합정지구, 서울), 《기암열전》(2019, 갤러리 밈, 서울)과 다수의 단체전을 통해 작가는 하나의 ‘스토리텔링’ 속에 작품들을 엮어 전시마다 독립된, 그래서 무한한 가능성을 가진 문학적 공간을 만들어낸다. 민담, 신화, 여행기, 고문헌 등을 광범위하게 조사하고 참조하고, 주류 미술사에서 배제되었던 부적, 무속화, 불화 등의 전통도 작업의 중심으로 가져온다.

또한 작가의 초기 작업에서부터 주요한 주제였던 ‘타자화되고 배제되어온 여성과 여성의 시선’이라는 문제가 이들 개인전에서 더욱더 적극적으로 다루어진다. 최근 개인전 《먼 곳에서 온 친구들》(2020, 보안여관, 서울)에서는 작가의 이전 작업에서 욕망과 유희의 주체라는 위치에 올라선 여성이 우리의 과거와 당시 예술에 대한 상상력을 확장하는 매개체로서 더욱 직접적으로 움직인다.

또한 재야의 미술사, 동아시아 시각문화의 자연관이나 탈식민적 상상 등 작가의 관심 주제를 두루 보여주며 자신의 넓은 예술의 지평을 선보였다.

형식과 내용

김지평은 무조건적인 과거의 변용, 전통의 현대화는 경계한다. 오히려 과거의 시선으로 현재를 살피고 ‘더 옛것’으로 돌아가는 의도적인 시대착오를 통해 현대성을 반추하고자 한다. 이러한 작가의 주제적 특징은 그가 모색해온 방법론 혹은 매체의 특성에서도 드러난다.

작가는 《평안도》에서 이전에 하지 않았던 금니 그림을 그리고, 《기암열전》에서는 산수화의 가장 작은 단위인 괴석에 주목해 목탄, 먹, 석채, 경면주사 등 다양한 재료를 사용한다. 작가가 지속해서 다루어온 장황, 즉 두루마리, 족자, 병풍 등 동양화 전통에서 부차적인 것으로 여겨져 왔던 형식을 《재녀덕고》와 《먼 곳에서 온 친구들》에서 집중적으로 다루며 동양화의 물리적 조건을 적극적으로 실험한다.

개인전을 비롯해 다수의 단체전에서 영상 작품이나 리서치 과정에서 수집한 사물을 함께 전시해 감상 맥락을 풍부하게 하기도 한다. 관객이 작품을 보는 데 작동하는 ‘물리적’ 조건들, 즉 표구의 배치, 시선, 틀을 다변화한다.

이렇듯 김지평은 전통, 동양, 아시아 등의 주제와 매체를 향한 상투적인 기존 사고방식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사고하기를 추구한다. 그의 작업이 전통의 현대화라는 말로 요약되지 않는 이유이다.

지형도와 지속성

2000년대 중반은 전통 그림의 양식을 빌려 작품을 전개한 젊은 작가들이 갤러리와 미술 저널리즘, 대안공간 등의 주목을 받던 시기이다. 이후 약 2008년쯤까지 젊은 작가들의 전통문화에 관한 관심이 높았고, 미술시장에서도 전통양식을 차용한 현대회화가 인기를 끌었다.

이러한 흐름은 대중적 유행으로 이어져 민화 교실이 확산되는 등, 예술계 안팎으로 민화 특히 책가도가 하나의 장르회화로 여겨지기도 하였다. 당시 김지혜로 활동하던 작가는 ‘책가도 작가’로 이름을 알리며 2007년에 인사아트센터에서 책가도를 위주로 대규모 개인전을 열기도 했는데, 이 시기에 약 500여 점이 넘는 책가도를 그렸다는 일화에서 그의 인지도와 인기를 짐작할 수 있다.

김지평이 이러한 인기에 갇히지 않고, 2013년 작업의 변화를 모색했다는 점은 그가 지닌 진지한 작가적 태도와 작업에 대한 심도 있는 고찰을 시사한다. 김지평은 책가도와 화조도 등으로 이름을 알린 후 ‘전통’ 혹은 ‘동양화’를 주제로 한 현대미술기획전에 자주 초대되는 작가였다.

그가 작업의 주제와 형식을 확장하고 심화해 나간 이후에는 《산수-억압된 자연》(2019, 이응노미술관, 대전), 《설탕과 소금》(2021, 술술센터, 서울), 《송은미술대상전》(2021, 송은아트스페이스) 등 동아시아의 문화와 미술, 재야의 서사, 종교, 여성 등 다양한 기획전에 참가하는 등 더욱더 폭넓은 행보를 보이고 있다.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와 교차하는 한국의 동시대 미술 작가들: 송은 전시에 참여한 김지평, 이진주 등 17명의 작가
A Team

10년 만에 선보이는 송은문화재단의 소장품 기획 전시 “Past. Present. Future.”전은 고려 시대 고미술품에서부터 최근 예술 문화에 큰 변화를 가져온 NFT(대체 불가능 토큰) 작품까지 수 세기를 아우르는 송은문화재단의 소장품을 ‘시간’이라는 맥락 안에서 기획한 전시이다.


Title image of "Past. Present. Future." SONGEUN. Seoul. April 6 - May 14, 2022. © SONGEUN Art and Cultural Foundation.

전시는 과거에서 미래로, 한 방향으로 가는 시간의 흐름을 따라가기보다는 현재를 중심으로 과거와 미래가 서로 교차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동시대 미술 작가 17명의 작품을 전통 미술과 함께 교차 전시함으로써 현재의 동시대 미술 문화를 들여다보고 송은문화재단 컬렉션 방향의 근간과 비전을 재조명한다.

또한 송은문화재단에서 지원하는 작가들이 어떤 영향을 받으며 작품 세계를 구축했고, 나아가 미래는 어떻게 그려내고 있는지 새로운 시선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번 전시에서는 에이프로젝트 컴퍼니에서 곧 오픈할 온라인 아트마켓 플랫폼 K-ARTIST.COM에 참가하는 김지평 작가와 이진주 작가가 참여하고 있다.


Artists Kim Jipyeong and LEE Jinju. Courtesy of the artists.

김지평(b. 1976) 작가는 화첩, 족자, 병풍과 같이 전통 동양 예술계에서 비주류 예술품이자 부수적인 장식품으로 취급되었던 장황(粧䌙)을 활용하여 동시대 이야기를 펼친다.

작가는 ‘동시대성’을 고찰하기 위해 현대적 관점에서 전통 미술을 해석하지 않고 오히려 과거의 맥락 안에서 현재성을 해석한다. 즉, 의도적으로 시대착오적인 작품을 제작함으로써 현대 사회를 고민한다.

소외된 여성 예술가, 과거 예술 문화로서 도외시되어 왔던 무속화나 불화, 기록으로만 남아 지금에 이르러서는 잊힌 예술품들과 같이 전통 아시아 시각 문화에서 주목받지 못했던 형식, 개념, 역사를 활용해 동시대에 대한 이야기를 펼친다.


김지평 (Kim Jipyeong) '능파미보 凌波微 步 숙선 , 호연재 , 옥봉 , 매창 , 사주당 , 금 원 , 청창 , 난설헌 , 운초 , 빙허각'. 10 폭 병풍 : 나무틀에 한지 , 비단 , 혼합재료 장식 180 x 450 cm 2019
© SONGEUN Art and Cultural Foundation and the Artist. All rights reserved.

이진주(b. 1980) 작가는 전통 한국화 기법을 통해 자신의 기억에서 오는 감각을 심리적 풍경으로 그려내는 작가이다. 그림 속에 표현된 모든 대상은 우리가 일상에서 쉽게 접하는 풍경과 사물로 매우 세세하고 사실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이 모여 있는 전체적인 모습은 알 수 없는 맥락으로 배치되어 초현실적인 느낌을 준다.

기억은 시간의 흐름이나 공간의 이치에 구속되지 않는다. 기억 속 시간이 파편화되고 분절되고 때로는 역행하기도 하는 것처럼, 작가의 작품 속 사물과 풍경은 논리적 연속성을 갖지 않는다. 작품 속에 표현된 공간 또한 마찬가지이다. 한정된 범위 내에서 펼쳐지는 공간은 나누어져 있기도 하고 중력을 거스르기도 한다. 그리고 그 안에는 한 번에 이해하기 어려운 서사와 장면들이 펼쳐지고 있다.

이는 마치 기억이 무의식 속에 자리 잡으며 잊히거나 왜곡되기도 하고 여러 부분이 모여 전혀 새로운 유기적인 장면을 만들어 내듯, 이진주 작가의 작품들도 전혀 새로운 낯선 장면들을 그려 낸다.


이진주(LEE Jinju), '4 의 견해' 천에 채색 67 x 340 cm 2014 © SONGEUN Art and Cultural Foundation and the Artist. All rights reserved.

1989년에 설립된 송은문화재단은 한국의 젊은 동시대 미술 작가들을 발굴하고 지원하고, 국내에 잘 알려지지 않은 해외 작가들을 초대하여 전시를 개최하는 등 국내외 동시대 미술의 흐름을 소개하는 기관이다.


Exterior view of SONGEUN Cultural Foundation. Photo by Aproject Comapny.

송은문화재단은 2001년 송은미술대상 공모전을 제정하였고, 대치동에 위치한 송은 아트큐브를 통해서 신진 작가들을 위한 공모전을 진행하고 있다. 다양한 기획전이 이뤄지고 있는 송은 아트스페이스는 2010년에 처음 개관하여 2021년에 신사옥으로 이전하였다.

References

Articles

Editor’s Pic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