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동 작가의 사진 속에는 익숙하지만 어딘가 기묘한 장면이 펼쳐진다 - K-ARTNOW
김태동 (b.1978) 대한민국, 서울

김태동은 중앙대학교 사진학과를 졸업(2007)하고 동대학원에서 사진학과 석사학위를 취득(2013)했다.

반 구성적 사진 그리고 인간과 풍경의 경계

개인전 (요약)

심야의 도시 공간에서 우연히 만난 인물들을 촬영한 ‘데이 브레이크'(2011~ ) 시리즈로 큰 반향을 불러일으키며 2012년 갤러리룩스(서울, 한국)와 2013년 일우스페이스(서울, 한국)에서 개인전을 가졌다.

2019년 아마도예술공간(서울, 한국)에서 개최한 아마도사진상 수상전과 2020년 유아트스페이스(서울, 한국) 개인전에서는 전쟁을 모티프로 한 ‘강선’ (2015~ ) 시리즈와 ‘플라네테스’ (2017~ ) 시리즈를 선보였다.

그룹전 (요약)

문화역서울284(서울, 한국), 국립현대미술관(서울, 한국), 하라미술관(도쿄, 일본), 울렌스현대미술센터(베이징, 중국), 아트선재센터(서울, 한국), 서울시립북서울미술관(서울, 한국) 등의 기관에서 열린 전시에 참여하였다.

수상 (선정)

제6회 아마도사진상(아마도예술공간, 한국), 제4회 일우사진상 전시 부문(일우재단, 한국)을 수상했다. 제4회 KT&G SKOPF 올해의 작가(KT&G 상상마당, 한국) 최종 3인에 선정되었다.

작품소장 (선정)

경기도미술관(안산, 한국), 스미스칼리지미술관(매사추세츠, 미국), SK건설(서울, 한국), 일우재단(서울, 한국), 오스트레일리아전쟁기념관(캔버라, 오스트레일리아), 국립현대미술관(과천, 한국) 등에 작품이 소장되었다.

주제와 개념

김태동은 경계에 위치한 공간과 그곳에 있는 사람들의 평범한 일상을 비일상적인 분위기의 사진으로 담아낸다. 그는 작품을 위한 특별한 소재나 주제를 찾아 나서지는 않는다. 다만 자신 주변에 있는 것을 주의 깊게 보며, 그것을 어떻게 보여줄지 고민할 뿐이다.

그가 포착하는 경계는 도심과 변두리 사이의 공간이기도 하고 낮과 밤 사이의 시간이기도 하다. 분단된 남북의 접경 지역이거나 과거와 미래 사이의 역사가 될 때도 있다. 어떤 종류가 되었든 경계에 있는 장소라면 불안하고 어색한 공기가 부유한다. 그곳에는 언제나 사람이 있고, 끝없는 별이 있다.

“독창적인 사진 자체는 없지만 독자적인 시선과 관점은 여전히 유효하며,
해석하는 방식에 따라 완전히 같은 사진일 수도, 전혀 다른 사진이 될 수도 있다.


김태동은 새벽의 도시 공간이 불러일으키는 기이한 느낌을 표현한 ‘데이 브레이크’(2011~ ) 연작으로 많은 주목을 받았다. 자정이 지난 시각, 인공조명만이 밝게 비추는 도시는 활발한 낮의 일상과는 다른 무대가 된다. 작가는 밤의 서울을 배회하며 적절한 장소를 선정하고, 그곳에 우연히 등장한 행인을 섭외해 포즈를 요청했다. 특출난 사연이랄 것 없이 평범하게 밤의 거리를 누비는 사람들이다.

‘데이 브레이크’ 연작에서 사진 속의 인물과 공간은 기묘한 대치를 이루고 있으며, 낯선 긴장감과 불편함이 섣부른 이해를 가로막도록 틈을 벌린다. 완벽하게 팽팽한 대치 상태가 주는 날카로운 감각은 어떠한 의미도 전달하지 않지만 강렬하게 시선을 사로잡는다. 포즈는 고정되어 있지만 일렁이는 눈동자로 도시의 안과 밖을 두리번거리는 듯한 인물들의 사진은 선명한 밤의 초상이다.

DMZ 프로젝트 참여를 계기로 작업한 ‘강선’(2015~ ) 연작에서는 경원선 일대 사람들의 삶과 전쟁의 잔흔을 기록했다. 〈강선〉이 전쟁 후에 남겨진 미지의 일상을 기록했다면 〈플라네테스〉(2017~ ) 연작은 전쟁 유적지의 적막한 단상을 별과 함께 시적으로 담고 있다. 천체 운동을 추적하는 장치의 도움을 받아 사진을 찍으면 정지된 사물이 별의 이동 궤적만큼 흔들리고, 움직이는 별은 꼼짝없이 멈추게 된다. 영원한 우주와 유한한 인간의 흔적이 함께 찍힌 사진은 수많은 결의 시간들을 하나의 화면 안에 포개어 놓는다.

김태동의 사진에는 항상 스산한 긴장감이 감돌고, 무슨 일인가 벌어질 듯한 조마조마함이 도사리고 있다. 돌연 나타나 정지된 화면 속을 헤매는 유령은 어딘가로 도망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하고 무언가를 추적하는 것 같기도 하다. 작품을 보는 관람자와의 거리도 쉽사리 좁혀지지 않는다. 멀찍이 서서 날카로운 눈빛을 보내는 사진 속에 숨겨진 사람들의 삶은 상상에 맡겨둔다.

형식과 내용

사진 매체에 당연하게 따라붙는 수고로움과 작업이 원활하게 진행되어도 피할 수 없을 크고 작은 시행착오들을 떠올린다면, 사진작가에게 공들인 사전 준비는 제법 필수적이다. 하지만 김태동이 목표하는 이미지를 감각적으로 추적해나가는 것에 비하면, 그리고 그 결과물이 형용하기 어려울 만큼 직관적인 것에 비한다면 그의 작업 계획은 지레짐작했던 것보다도 훨씬 집요하다.

자신만의 지도를 그리거나 지도를 펼쳐 구체적인 이동 경로를 계획하고, 대상지에 대한 여러 이미지를 수집하며 역사적 장소의 최대한 많은 정보를 조사한다. 작업 노트를 꼼꼼하게 작성하고, 촬영의 과정과 작업 결과도 자세하게 기록하여 정리해 둔다.

그러나 어디까지나 그의 작업 방향을 결정하는 것은 시각적인 느낌으로부터 온다. 해외 작가들의 작품을 포함한 많은 이미지와 미리 촬영해 놓은 사진, 실제 장소에 이르기까지 많은 것을 직접 보고, 이끌리는 것을 계속 따라가며 원하는 느낌에 가까워질 때까지 쫓아 나간다. 특정한 작업 개념을 설정하기보다는 ‘눈으로 보는 것에서 영감받는다.’

인물들의 강렬한 존재감 때문에 우리가 간과하기 쉬운 것은 김태동의 사진에서 가장 먼저 구축되는 것이 인물이 아니라 그들이 위치한 공간이라는 점이다. 애초에 작가는 작업의 초기부터 공간에 주목해 왔다. 실내 수족관을 촬영한 〈탱크〉(2007), 인위적으로 조성된 거대한 공간들을 담은 〈맨-메이드〉(2008), 뉴욕 한인타운 플러싱의 풍경과 사람들을 찍은 〈시메트리컬〉(2010) 등은 모두 도시 공간 어딘가에서 발견되는 장소를 포착한 연작들이다.

“내가 살고 있는 공간들이 어떤 의미인지, 본질은 어떤 모습인지 찬찬히 관찰하고 싶다.”

공간과 함께 그곳에 포섭된 인물이 중요하게 등장하기 시작한 것은 플러싱에서의 작업부터다. ‘도시 안 대부분의 것들이 인간을 위한 것이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인물도 찍게 되었다고 한다. 또한 때로는 인물 사진 한 장이 복잡한 내용과 상황을 단번에 보여주는 ‘돌파구’가 된다고 김태동은 말한다. 작가의 끈질긴 시선은 사진이 포착하고 있는 인물과 도시의 본질을 면밀하게 꿰뚫어 본다.

지형도와 지속성

김태동은 견고한 사진의 기본기 위에 자신만의 표현적 역량을 지니고 있는 사진가이다. 새로운 시각적 경험을 끌어내는 데에 김태동은 동시대의 주요한 사진작가들 가운데에서도 차별적인 지위를 점하고 있다. 작가는 사진의 무대가 되는 공간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인물 또는 장소에 과감히 다가가 현장을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끌어간다.

특유의 긴장된 화면이 가진 시각적 힘은 탁월하다. ‘아무것도 아닌 것’들을 스트레이트 하게 포착하면서도 기묘한 이야기가 담긴 장면으로 만들어내는 작가적 능력이 과연 뛰어나다고 하겠다.

10여 년 전, 동시대 미술의 시각을 반영하기 위한 국립현대미술관의 정례전 《젊은 모색 2013》에서는 설치와 영상 등을 주조로 다양한 미술 형식을 활용하는 작가들이 두드러지게 선정되었다. 9명의 참여 작가 중 순수한 정통 사진 매체로 작업하는 작가는 김태동이 유일했다. 한국 사진계는 물론이고 언제나 분주하게 변화하는 미술 현장에서도 김태동의 존재감이 뚜렷하게 자리 잡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데이 브레이크〉와 〈브레이크 데이즈〉로 신선한 충격을 주었던 젊은 작가는 이제 40대 중반의 중견 작가가 되었다. 하지만 그의 시선을 거쳐 제시되는 일상의 세계는 여전히 도발적인 장소로 느껴질 것 같다. 김태동이 보여줄 새로운 도시가 기다려지는 이유이다.

김태동 작가의 사진 속에는 익숙하지만 어딘가 기묘한 장면이 펼쳐진다
A Team

김태동 작가의 사진은 우리가 흔히 마주할 수 있는 익숙한 장면들을 보여 준다. 그의 작품 속에는 밤하늘에 떠 있는 별, 도시 외곽 지역의 풍경, 어딘지 친숙해 보이는 인물들이 등장한다. 그럼에도 그의 작품은 어딘가 기묘하고, 왠지 불안감과 긴장감을 불러일으킨다. 이는 작가가 익숙한 듯한 장면 속에서 미묘한 경계를 드러내기 때문이다.


Artist Kim Taedong. © 월간VDCM

작품의 주인공은 직관적으로 드러난 피사체가 아닌 그 이면에 스며든 ‘경계’이다. 그 경계는 때로는 도시의 외곽 지역이 되기도 하고, 낮과 밤 사이의 새벽녘이 되기도 하며, 분단된 남북한의 접경 지역이나 전쟁 유적지에 담긴 과거와 오늘의 경계가 되기도 한다.


Kim Taedong, 'Symmetrical-005,' 2010, Archive Pigment Print. Courtesy of the artist.

그중에서 작가는 도시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경계에 가장 오랫동안 관심을 가져 왔다. 예를 들어, 2010년부터 이어져 오고 있는 ‘시메트리컬(Symmetrical)’ 연작이 있다. 이 연작은 작가가 뉴욕에 있을 당시 플러싱(Flushing)이라는 지역에서 작업했을 때 시작되었다. 플러싱은 세계적인 대도시인 뉴욕시 내에 있는 지역이지만 구식 디자인으로 꾸며진 간판들과 오래된 건축물들 때문인지 분위기는 1980년대의 한국을 떠오르게 해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뉴욕시의 분위기와는 극명한 대비를 이루었다. 해당 연작에서 작가는 플러싱 지역과 그 공간 안에 있는 사람을 사진으로 담아 뉴욕이라는 대도시 외곽의 미묘한 경계를 포착한다.


Kim Taedong, 'Day Break-044,' 2011, Archival Pigment Print. Courtesy of the artist.

이러한 연장선상에 있는 연작이 2011년부터 전개해 온 ‘데이 브레이크(Day Break)’와 2013년부터 시작한 ‘브레이크 데이(Break Day)’이다. 두 연작은 서울이지만 어딘지 도시 같지 않은 풍경을 포착한다.

새벽이면 도시도 모든 역할을 내려놓고 휴식을 취한다. ‘데이 브레이크’ 연작은 어두운 밤이면 생겨나는 텅 빈 공간과 그 공간을 배회하는 사람들을 사진으로 담아낸다. 작가는 잠든 도시, 밤과 낮 사이 새벽 시간, 새벽 공간을 배회하는 낯선 인물들을 사진으로 포착해 어딘지 기묘하고 기이한 도시의 장면을 만들어 낸다.

이와 반대로, ‘브레이크 데이’는 낮의 도시 공간을 포착했다. 작가가 유년 시절을 보냈던 연신내는 서울의 경계 지역으로 대도시보다는 오래된 마을의 모습을 한 지역이다. 재개발로 인해 옛 도시의 모습과 새로운 건물들의 풍경이 충돌하는 공간이기도 하다. 작가는 도시의 경계선에 자리 잡은 기이한 풍경들, 낯선 사람들, 그리고 물건들을 포착한다.


Exhibition view of "Kim Taedong: DAY-BREAK-DAYS" at Ilwoo Art Space, Seoul. Oct. 31, 2013 - Dec. 24, 2013. Courtesy of the artist and Ilwoo Art Space

2014년에 작가는 잠시 일본 동경으로 활동을 옮겨 ‘클럽 S(Club S)’ 연작을 만들었다. 한류를 겨냥한 작은 술집에 우연히 방문한 뒤 단골이 된 작가는 그곳에 한국인 여행객, 교포, 조선족, 한국 문화를 좋아하는 일본인과 외국인 등 한국을 중심으로 막연한 공감대로 모여든 많은 사람들이 모여드는 것을 발견한다. 김태동 작가는 그곳이 마치 대도시 내에 존재하는 알 수 없는 틈새이자 모두를 위한 섬 같다는 생각을 한다. 그리고 이를 사진으로 담기 위해 작가는 동경 밤 도심 곳곳을 배경 삼아 그곳에서 만난 사람들을 촬영했다.

도시를 중심으로 경계를 탐구하던 김태동 작가는 경계의 개념을 전쟁 지역이라는 특수한 장소로 옮겨와 ‘강선(腔線 Rifling)’ 연작과 ‘플라네테스(Planetes)’ 연작으로 풀었다.

‘강선’ 연작에서 김태동 작가는 경원선 인근(동두천-백마고지) 전쟁 유적지를 따라 펼쳐진 기묘한 시골 풍경을 사진으로 담았다. 긴장감이 도사리고 있는 어두운 밤중에 촬영된 사진 속에는 전쟁 당시의 총알 자국, 군복 코스튬을 한 여성, 미군 기지 옆 마을의 부서진 담벼락 등이 등장해 그 지역만이 갖는 특수한 장면을 만들어낸다. 연작 제목인 강선은 총포 내부에 있는 나사 모양의 홈을 뜻하는 것으로, 남북한의 분단이라는 매우 극명한 경계를 DMZ 지역의 밤 풍경으로 풀어내 긴장감을 표현했다.


Partial exhibition view of "Kim Taedong: Planetes" at Amado Art Space/Lab. Nov. 19, 2019 - Dec. 20, 2019.
Kim Taedong, 'ΠΛΑΝΗΤΕΣ, PLANETES project,' AU-007 67cm x 50cm Archival Pigment Print.

‘강선’ 연작이 DMZ 지역이라는 특수한 지역에서 이뤄진 촬영이었다면, 2017년부터 작업해 온 ‘플라네테스’ 연작은 전국의 다양한 전쟁 지역으로 배경을 확장했다. 해당 연작에 나오는 별들은 한없이 뚜렷하지만 그 아래 풍경은 긴박하고 어지럽다. 카메라의 초점을 별에 맞추면 땅에 있는 풍경들은 별의 이동 궤적만큼 흔들리도록 촬영된다. 작가는 이 효과를 통해 전쟁 유적지, 퇴역 무기, 마을 풍경들을 별과 대조적으로 촬영함으로써 긴장감과 시간성을 드러낸다. 작가는 “사진 속에 정지된 많은 별들이 실은 수많은 다른 시간들이 모여서 한순간이 되는 것처럼, 흔들린 역사의 흔적들 속에 담긴 인간이 만들어낸 문명의 시간들을 되돌아보고 싶었다”고 했다.


Kim Taedong. Courtesy of the artist.

김태동(b. 1978) 작가는 제4회 KT&G SKOPF 올해의 작가(KT&G 상상마당, 한국) 최종 3인에 선정되면서 본격적인 작가 활동을 시작했다. 이후 그는 제4회 일우사진상 전시 부문(일우재단, 한국)을 수상하며 2013년 일우스페이스(서울, 한국)에서 개인전을 개최하고, 제6회 아마도사진상(아마도예술공간, 한국)을 수상하며 2019년 아마도예술공간(서울, 한국)에서 수상전을 열기도 했다.

단체전으로는 문화역서울284(서울, 한국), 국립현대미술관(서울, 한국), 하라미술관(도쿄, 일본), 울렌스현대미술센터(베이징, 중국), 아트선재센터(서울, 한국), 서울시립북서울미술관(서울, 한국) 등의 기관에서 열린 전시에 참여했다.

References

Articles

Editor’s Pic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