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은문화재단 “제22회 송은미술대상"전, 동시대 한국 미술의 미래 내다보기 ① - K-ARTNOW
정지현 (b.1983) 대한민국, 서울

정지현은 중앙대학교 사진학과를 졸업(2010)하고 석사학위(2016)를 취득했다. 이후 동 대학원에서 예술학과 박사과정을 수료(2019)했다.

개인전 (요약)

현재(2022)까지 여덟 번의 개인전을 개최했다. 송은아트스페이스(서울, 한국), KT&G상상마당(서울, 한국), 스페이스오뉴월(서울, 한국), BMW포토스페이스(부산, 한국) 등의 장소에서 전시를 가졌다.

그룹전 (요약)

인천아트플랫폼(인천, 한국), 김중업건축박물관(안양, 한국), 서울시립미술관(서울, 한국), 주폴란드 한국문화원(바르샤바, 폴란드), 아모레퍼시픽미술관(서울, 한국), 경기창작센터(안산, 한국) 등에서 열린 단체전에 참여했다.

수상 (선정)

제14회 사진비평상(포토스페이스, 한국)을 수상하였으며 제6회 KT&G SKOPF 올해의 작가(KT&G 상상마당, 한국) 최종 3인에 선정되었다. 라이카 오스카 바르낙 어워드와 프릭스 픽텟 등의 국제 사진상 후보로 추천되었다.

작품소장 (선정)

작품 소장처로는 국립현대미술관(과천, 한국), 서울시립미술관(서울, 한국), 부산현대미술관(부산, 한국), 아모레퍼시픽미술관(서울, 한국), 한미사진미술관(서울, 한국), 고은사진미술관(부산, 한국) 등이 있다.

주제와 개념

정지현은 빠르게 변화하는 도시 환경 속에서 사진을 통해 도시의 건축물에 관한 기억을 공유하고 기록하는 작업을 한다. 스무 살 무렵, 작가가 어린 시절부터 자라 온 잠실 주공아파트는 재개발에 들어갔다. 거대한 대단지가 한순간에 거짓말처럼 사라졌다.

작가는 이 충격적인 경험 이후 건축물이 바꾸어 가는 도시의 모습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건물과 함께 상실하는 기억에 관해 생각하기 시작했다.

작가는 건물을 건설하거나 철거하는 건축의 현장을 찍는다. 거리를 오가며 드물지 않게 마주치게 되지만, 공사장 가림막 뒤로 숨어 그 부분적 실체만 훔쳐볼 수 있었던 풍경들이다.

이전 작업에서 작가가 철거되는 아파트나 재개발 지역의 건축 현장을 촬영함으로써 도시의 과거를 다루었다면, 근래의 작업은 도시의 구조를 만드는 새로운 초고층 빌딩들의 건축 현장을 기록하며 도시의 미래를 생각한다.

정지현의 사진 작업은 도시 건축물을 보존하고 기록하는 건축사진인 동시에 그것을 해체하여 숨어있던 것들을 드러내는 예술사진이라는 두 가지 상반된 활동을 포함한다. 작가는 건축 현장에 조형적으로 개입하고 건축의 요소나 일부를 임시로 변형함으로써 자신의 예술 형식을 구축한다.

벽을 붉게 칠해 파괴적인 현장들이 과거에는 삶의 장소였음을 표현하거나, 건축 자재들로 가변적인 구조물을 설치함으로써 공간을 변이시키는 것이다. 그렇게 하여 적나라하게 드러나는 것은 우리가 미처 본 적 없던 건축물들의 내부, 건물의 안도 밖도 아닌 그 ‘속살’이다.

정지현의 사진이 기록하고 있는 것은 오늘이 지나면 사라지는 풍경이다. 건물을 건설하거나 철거하는 건축 현장은 매일 그 모습이 바뀌어 간다. 현장의 공정은 나름의 계획과 속도대로 계속해서 나아가기에, 애써 칠한 벽이 하루 만에 폭파되어 건물 외관을 촬영하기도 전에 빨간 콘크리트 가루만 남아버리는 경우도 있다. 지금 이 순간 기록하지 않으면 다음 순간에 대상이 사라져버릴 수 있다는 절박함은 작가가 끈질기게 현장을 관찰하고 기록하게 하는 동력이 된다.

견고한 세계이고 삶의 무대였던 건축물이 너무나도 간단하게 부서지는 현장을 목도하면서 우리는 세계가 얼마나 유한하고 덧없는 것인지를 계속해서 깨닫는다. 누군가에게는 꿈의 상징이었을 아파트는 새로운 이해관계와 욕망, 자본의 논리에 의해 허물어지고 또다시 쌓아 올려질 뿐이다.

그러나 작가는 이러한 현실을 섣부르게 연민하지 않고, 그저 그곳에 한시적으로 존재했던 것들을 기록해 나간다. 도시의 구조가 수직과 수평의 레이어를 끊임없이 중첩하고 있는 것처럼, 건축물은 여러 사람의 서로 다른 기억과 생각이 교차하는 장이 된다.

형식과 내용

정지현은 공간에 대한 작가의 개입을 강렬한 붉은 색으로 표출시킨 ‘철거 현장’ (2013)과 ‘재건축 현장’ (2015) 연작을 통해 많은 주목을 받았다. 작가는 먼저 ‘현장’을 발견하여 침범하고, 긴 시간 동안 계속해서 공간을 경험하며 장소의 변화를 관찰한다. 그 과정에서 임의의 세대나 한 층 전체를 빨간 페인트로 칠하는 행위를 통해 작가는 공간의 일부가 되고 일시적으로 그곳을 점유한다.

다음으로 빨강의 영역이 적절하게 프레임 안에 담길 수 있는 위치를 찾기 위해 건물 바깥으로 나가 조망의 거리를 둔다. 건물의 철거가 진행됨에 따라 붉은 방은 바깥으로 모습을 드러내고, 이내 붉은 콘크리트 조각으로 잘게 부서져 간다. 작가는 붉은 벽체가 노출된 외관을 촬영하고 내부를 기록한 사진과 함께 전시했다.

도시의 건물은 다양한 서사가 교차하는 장소이지만 작가의 사진에서 그곳에 얽힌 개인이나 사회의 세세한 역사를 읽어내는 것은 어렵다. 차갑고 건조한 사진에서 두드러지는 것은 부서진 단면의 이미지, 건물의 골조 그리고 건축 요소들의 형태나 질감 같은 것들이다.

작가는 자신의 사진이 폐허의 시각적 스펙터클로서 재개발 현장을 소비하는 작업에 그치지 않도록 공간에 적극적으로 개입해 들어간다. 건물의 내외부에 일시적인 파열음을 일으키는 빨강은 그곳에 그것이 있었음을 증명하는 흔적이 된다.

최근 작가는 주로 커미션의 형태로 새로운 건물의 건설 과정을 기록하는 작업을 한다. 아모레퍼시픽의 신사옥 건립을 도큐멘테이션 한 ‘컨스트럭트’ (2017), 1970년대 고도성장 시대를 상징하는 한국 최초의 마천루이자 커튼월 건물인 삼일빌딩의 리모델링 복원 과정을 기록한 ‘리컨스트럭트’ (2020~2021), 송은아트스페이스 신사옥 건립 현장을 담은 ‘Structure Studies Topology’ (2019~2021) 등 다양한 아카이브 작업을 진행했다.

작가는 건물의 지반 작업부터 매끈한 위용을 빛내며 완성된 후의 준공 사진까지 시시각각 변화하는 건물의 모습을 기록한다. 현장에 잠입하거나 관계자들의 양해를 구해야 했던 과거와 달리 가장 깊숙한 공간으로 초청되었다.

건물이 구축되는 현장은 폐허를 포착할 때보다 조형적으로 좀 더 내밀하고 섬세한 시선을 가능하게 한다. 작가는 공간을 생성해 나가는 사물들에 개입하여 건축 자재의 재질과 기능을 뒤집어 보인다. 건축 현장 내에서의 인스톨레이션을 통해 다양한 조형성과 미감을 만들어 내기도 한다.

지형도와 지속성

건축물을 촬영하는 사진은 도시 환경에 대한 아카이브로서의 역사적 가치를 자동으로 획득한다. 그러나 정지현의 작업은 객관적인 정보를 세밀하게 기록하거나 유형학적으로 건축 양식을 수집하는 건축사진들과는 다른 결을 가진다.

이미 발파되어 사라진 장소나 마감재로 감싸여 모습을 감춰버린 도시의 골격 같은 것을 담고 있는 정지현의 사진은 독특한 시간성과 의미를 전달하고 있다.

그의 작품은 역사적 사진인 동시에 미술적 행위를 동반한다. 사진이 주는 시각적 즐거움 역시 인상적이지만 그것이 계속해서 사진의 작동 방식을 재설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작가가 자신의 몸을 사용해 공간에 개입하는 수행적인 태도는 동시대 미술의 보편적인 양상들과 유사하다.

사물들을 건축 현장 안에 배치함으로써 시도되는 추상적인 공간 드로잉, 다양한 물질의 촉각적 대비와 같은 미술적 실험들 역시 작가의 작업을 관람자가 예상치 못하는 지점으로 변주해 나간다. 작가는 또한 여러 가지 물성과 맥락 위에 자신의 사진을 위치시킨다. 사진을 접착 비닐 위에 출력하여 야외 공간에 설치하거나 매끈한 유리에 UV 출력하는 등의 시도 들은 시각적인 동시에 촉각적인 경험을 만들어낸다.

정지현을 특별한 사진가로 위치시키는 것은 이러한 은유와 작가적 표현이 어디까지나 중립적인 태도 위에 놓인다는 점이다. 작가는 감성적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사물들을 포착하기보다, 건축물이 가지고 있는 시각적이고 구조적인 형식에 집중한다. 차가울 만큼 세련되고 정제된 작가의 시선은 쉴 틈 없이 변화하는 도시의 안과 밖을 바라보며 공공의 기억이 깃든 건축물들을 역사화해 나간다.

송은문화재단 “제22회 송은미술대상"전, 동시대 한국 미술의 미래 내다보기 ①
A Team
Installation view of SongEun's Welcome Room. © SONGEUN Art and Cultural Foundation and the Artists. All rights reserved.

한국 미술의 미래를 엿볼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무엇일까? 뛰어난 역량과 잠재력 있는 신진 작가들을 알아보는 방법은 매우 다양하지만 공신력 있는 기관에서 꾸준하게 시상해 오고 있는 미술상을 살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국내에는 여러 개의 미술상이 존재한다. 그중 송은문화재단의 송은미술대상은 올해로 22회째를 맞이하였다. 송은에서는 2022년의 대상 수상자를 가리기 위해 20명의 뛰어난 젊은 작가들의 작업을 한자리에 모아 놓은 “제22회 송은미술대상전”을 12월 21부터 2월 18일까지 개최한다.

송은미술대상은 2001년부터 매년 운영하고 있는 미술상으로, 가장 역량 있는 동시대 한국 작가를 발굴하고 지원하고자 제정되었다. 2021년에는 미술상 제정 20주년을 맞아 새롭게 개편해 기존에 4명의 후보자를 선정해 왔던 방식을 2021년 전시부터는 20명의 작가를 소개한다. 

본선에 오른 20명의 작가들은 최근 동시대 미술계에서 활발한 활동을 펼쳤을 뿐만 아니라 한국 미술 지형도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더하였다. 송은문화재단의 지원을 받아 제작된 이들 작가들의 작품을 통해 동시대 한국 미술의 다양한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올해 공모에는 총 503명이 지원해 예선을 거쳤다. 본선에 오른 20명의 작가로는 고재욱, 김영글, 김현석, 노은주, 박아람, 박윤주, 박그림, 손혜경, 안성석, 이희준, 이수진, 장종완, 전보경, 전혜주, 전혜림, 정지현, 정희민, 최고은, 애나한, 황원해가 있으며, 이들은 회화, 조각, 설치, 사진, 영상, 사운드 등 여러 장르를 아울러 작업한다.

20명의 작가들은 전시에 참여하기 위한 제반 비용을 지원받게 되며, 전시 중에 이뤄지는 심사를 통해 최종 대상 수상자로 선정되면 작가로서의 커리어를 키우고 앞으로 더욱 활발한 작품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과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최종 대상 수상자는 2023년 1월에 발표될 예정이다.

고재욱(Jaewook Koh), '모범적인 조연들' 전분 플라스틱에 유채, 가변설치. ⓒSONGEUN Art and Cultural Foundation and the Artists. All rights reserved.

고재욱(b. 1983) 작가는 오늘날 한국 사회에 살아가면서 느끼는 불편한 현실이나 사회 시스템의 부조리를 유머러스하게 풀어내 이를 다른 사람과 공유하는 작업을 한다.

작가의 대표 프로젝트로는 실제 크기의 본인 이미지를 해외에 있는 지인들에게 보내 함께 사진을 찍게 하여 남들에게 기억되고 싶은 심리를 드러낸 프로젝트 ‘On Your Mark’와 노래방이라는 형태를 통해 고립감에서 벗어나 남들에게 관심 받고 싶어하는 욕망을 풀어낸 프로젝트 ‘Die for’가 있다.

이번 전시에서 작가는 콘솔 게임 속 등장하는 유색 인종, 특히 아시아인들을 실제 사람 크기의 조형물로 제작했다. 게임 매체가 담은 이미지를 통해 우리의 인식 기저에 깔려 있는 서구 중심적 사고에 대해서 돌아보게끔 한다.

김영글(Youngle Keem), '머뭇거리는 사이', 2022, 책상, 의자, 시들어가는 꽃과 꽃병, 종이에 펜으로 쓴 시, 가변설치. ⓒSONGEUN Art and Cultural Foundation and the Artists. All rights reserved.

문학과 미술을 전공한 김영글(b. 1980) 작가는 시각적 요소뿐만 아니라 언어적 요소도 매우 중요하게 여긴다. 그는 영상, 설치, 사진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문학적 상상을 하거나 글을 쓰는 행위를 통해 문화적 이미지를 독해한다.

예를 들어 ‘돌 탐구 연작’과 같은 작업에서 작가는 인간이 돌이라는 사물에 부여한 다양한 의미를 수집하고 사진 아카이브 형식으로 분류하여 그에 대한 이야기를 글쓰기로 제시한다. ‘파란 나라’와 같은 작품에서는 어떤 주제에서 출발하여 한국 근현대사에서 잊힌 대상을 드러낸다.

송은에서 김영글 작가는 작가로서 가졌던 근본적인 고민에서 얻은 교훈을 작품으로 풀어냈다. 작가가 전시에 참여한다는 것은 어떠한 형태로든 작가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풀어 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때로는 그것이 불가능할 때도 있다. 작가는 그 과정 속에서 얻은 생각을 전시를 통해 보여 준다.

김현석(Hyun-Seok Kim), '환영의 변증법', 2022, 2채널 비디오, UHD, 컬러, 반복, 인공지능 모델(gpt-3, Stable diffusion), 167x80x100cm. ⓒSONGEUN Art and Cultural Foundation and the Artists. All rights reserved.

김현석(b. 1988) 작가는 “기술의 동시대성”을 주제로 작업한다. 오늘날 미디어가 재현해 내는 이미지와 의미에 대해서 질문을 던지며 현대 매체의 기술이 갖는 특이성을 연구한다. 그리고 그 기술이 만들어 내는 이미지들의 특유한 운동성을 드러낸다.

이번 전시에서 김현석 작가는 최근 급격하게 발전하는 인공 지능 모델을 기반으로 제작한 2 채널 영상 설치 작품을 선보인다. 서로 등을 맞대고 있는 두 개의 모니터 화면에는 각각 인공 지능 모델로 생성된 가상의 두 인물인 Dora 와 Alice가 서로 대화를 나눈다. 이들은 ‘이미지’와 ‘언어’에 대해 문답하며 미래의 시·지각성을 점치고 있다.

노은주(Eunjoo Rho), '사물들', 2022, 캔버스에 유채, 193.9x450cm. ⓒSONGEUN Art and Cultural Foundation and the Artists. All rights reserved.

노은주(b. 1988) 작가는 도시를 이루는 풍경과 그 안에 담긴 기초적인 형태들을 드로잉과 회화를 중심으로 탐구한다. 작가는 주변의 사물들을 에스키스 드로잉으로 그리고 이를 3D 모델링으로 미니어처 조각으로 만들어 작가만의 기준으로 이를 재배치해 다시 회화로 옮겨 낸다. 

건축 자재로 사용하는 나무 조각이나 철골의 모습, 시드는 듯한 모습을 한 꽃, 굳은 건지 녹아내리는 건지 알 수 없는 구조물들은 무력함, 지루함, 불안함 등 복잡한 감정을 표현한다. 어딘지 미완성된 듯한 느낌은 차가운 색채, 연극적 시선, 얇지만 날 선 형태를 통해 긴장감으로 드러나기도 한다. 작가의 정물화는 어디에서나 찾아볼 수 있으면서도 어딘가 이상한, ‘어디에나 있지만 어디에도 없는’ 한 장면을 그린다.

박그림(Grim Park), '심호도 춘수(尋虎圖_春秀)', 2022, 비단에 담채, 250x340cm. ⓒSONGEUN Art and Cultural Foundation and the Artists. All rights reserved.

불교 회화에 사용되는 기법과 주제를 활용해 개인의 이야기를 펼치는 박그림(b. 1987) 작가의 회화 작업은 성 소수자와 관련한 사회적 이슈로 확장된다. 비단 앞뒤로 수십 번씩 채색하여 섬세하게 그려 낸 작품들은 비주류 장르인 불화, 오늘날 거부되는 도제식 작업 방식, 그리고 성 소수자로서의 정체성 혼란, 아름다움에 대한 열망 등을 담아낸다.

전시장에 걸려 있는 ‘심호도 춘수’는 사찰 건물 뒤편에 주로 그려지는 벽화에서 영감을 받았다. 본성을 찾는 것을 소를 찾는 것에 비유한 ‘심우도’ 대신 작가는 자신을 상징하는 호랑이를 그렸다. 3폭의 화면에는 불교적 요소, 작가 개인이 가졌던 갈등, 그리고 이를 승화하는 서사를 보여 준다.

박아람(Rahm Parc), '그림들', 2022, 철판에 페인트, 3면 각, 180x180x0.7cm. ⓒSONGEUN Art and Cultural Foundation and the Artists. All rights reserved.

박아람(b. 1986) 작가는 설치, 조각, 퍼포먼스 등 점점 다양해지고 있는 예술 매체를 활용하여 회화의 가능성을 넓히는 작업을 한다. 작가는 가상과 현실이 모호해지고, 수치로 표시되는 지표로 구성되는 오늘날, 우리가 새롭게 인식하는 시공간이 무엇인지를 생각한다.

작가는 구글시트나 스프레드시트 같은 소프트웨어의 연산 방식을 색과 면으로 표현해 오늘날의 ‘공간 인식 방식과 이미지 생산 방식’을 재현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벽에 의지하지 않고 스스로 설 수 있는 그림을 고민한 작업이 송은 1층 로비에 설치되었다. 로비의 회전문과도 닮은 작품은 회화, 조각, 퍼포먼스를 모두 아우른다.

박윤주(Yunju Park), '에시드 투 요크(Acid to Yolk)', 2022, 다채널 비디오, 건축설계 3D모션그래픽, 3분 21초. ⓒSONGEUN Art and Cultural Foundation and the Artists. All rights reserved.

박윤주(b. 1985) 작가는 건축 설계 및 3D 모델링, 애니메이션, VR 필름 등을 활용해 사물의 운동성이 갖는 생동감을 탐구하고 가상 공간을 공공의 영역으로 설정해 새로운 세계를 상상한다.

이번 전시에서 선보이는 작품 ‘에시드 투 요크’(2022)는 가상 속에 존재하는 세계에 산성 액체가 계속 흘러나와 장소라는 것이 휘발되어 가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영상 속 건축 구조는 가장 이상적인 형태를 하고 있지만 산성 액체로 인해 끊임없이 열리고, 맺는 것 없이 시작만 반복되는 공간이 되어 완성되지 않고 계속적인 수행만 이루어진다.

손혜경(Hye-Kyung Son), '축적', 2022, 스테인리스 스틸 타공판,각파이프,각봉,환봉,미러판, 아크릴 미러, 아스텔 아크릴, 철제 책진열대, LED, 경칩, 140x220x230cm ⓒSONGEUN Art and Cultural Foundation and the Artists. All rights reserved.

손혜경(b. 1979) 작가는 주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생활 상품을 가지고 설치와 조각 작업을 한다. 작가는 상품이라는 것이 만들어지기 위해 작동된 자본주의 시스템의 원리와 그 안에서 발견할 수 있는 모순을 조형적 구성을 통해 담아내고자 한다.

송은에서 전시된 ‘축적’(2022)은 책꽂이를 활용해 만들어졌다. 책꽂이라는 상품은 대량 생산 시스템 속에 무수히 많이 생산되고 집적되어 판매된다. 모든 것이 상품화되는 현대 사회에서 우리는 사람과 사람 간의 사회적 관계를 비롯한 모든 것을 이러한 기준에서 이해하게 된다. 작가는 이렇듯 인간의 필요에 의해 생산이 축적되는 체제를 살펴보고 있다.

안성석(Sungseok Ahn), '사랑을 나눠줄만큼 행복한 사람이 되면', 2022, VR, 스티로폼 단열제, 칼라스프레이, 8분 ⓒSONGEUN Art and Cultural Foundation and the Artists. All rights reserved.

안성석(b. 1985) 작가는 사진에서부터 회화, 설치, 영상, 게임, 가상 현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다. 그는 자신을 둘러싼 삶과 환경에 호기심을 갖고 이를 작업으로 풀어낸다. 따라서 그의 작업은 작가 본인의 관심사를 중심으로 다양한 주제를 오간다. 송은에서는 인간에 대한 애정 어린 시선이 담긴 VR작업을 내놨다. 작가는 죽지 않을 수 있었던 죽음을 기록한다. 작가는 죽음이 기록됨으로써 사적인 것인 아닌 책임과 의무가 지워지는 것이 된다는 점에 입각해 억울한 죽음을 VR형태로 기록하여 개인들의 희생을 상기시킨다. 

애나한(Anna Han), 'Pink Snare', 2022, 캔버스에 아크릴릭, 나무, LED, 은박, 아크릴, 유포실사, 300×300×300cm ⓒSONGEUN Art and Cultural Foundation and the Artists. All rights reserved.

애나한(b. 1982) 작가에게 있어서 공간은 물리적인 장소인 동시에 어떠한 심리적인 접근이 가능한 곳이다. 작가는 특정 공간만이 갖는 특성을 살리기 위해 다양한 재료를 활용해 공간을 변형하는 작업을 펼쳐 왔다. 작가는 이를 통해 관람객들이 공간이 갖는 물성과 함께 내면의 감성을 끌어내고 공유할 수 있도록 이끈다.

이번 전시에서 작가는 송은의 공간에서 영감을 받아 전시장 한편에 있는 공간을 캔버스처럼 활용하여 새로운 공간이자 숨겨진 작은 우주를 만들어 냈다. 작가는 송은의 건축가 피에르 드 뫼롱이 송은의 공간이 방문객들에게 새로운 우주로 태어나길 바랐다는 것에서 영감을 받았다.

Articles

Editor’s Pic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