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r image of 《Ha Chong-Hyun 5975》 ©Art Sonje Center

아트선재센터는 오는 2월 14일부터 4월 20일까지 작가 하종현의 초기 작업(1959–1975)을 집중적으로 조명하는 《하종현 5975》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하종현이 다룬 물질과 회화적 기법이 당시 한국의 시대적 맥락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며 발전했는지 탐구한다.

하종현의 초기 작업은 한국전쟁과 급격한 산업화, 도시화라는 한국 현대사의 격동에 반응하며, 다양한 재료와 물질성에 대한 실험을 확장해 왔다. 그의 작업은 사회적 현실과 개인적 경험을 재구성하고, 회화의 가능성에 질문하는 실험적 시도로 가득 차 있다.

Ha Chong Hyun, Conjunction, 1974, Collection of Leeum Museum of Art ©Ha Chong Hyun

전시는 1959년 하종현이 홍익대학교를 졸업한 직후부터 현재 그의 대표작으로 잘 알려진 ‘접합’ 연작을 시작한 1975년까지의 기간을 총 네 시기로 나누어 살펴본다. 먼저 ‘1부: 앵포르멜(1959–1965)’에서는 앵포르멜의 영향을 받아 전후의 혼란과 불안, 황폐한 시대 상황을 반영한 작업 시기를 다루고, ‘2부: 도시화와 기하학적 추상(1967–1970)’에서는 가속화된 도시화와 경제성장을 주제 삼은 기하학적 추상 작업과 전통과 현대의 융합 가능성을 탐구한 ‘탄생’ 연작을 선보인다.

전시는 한국아방가르드협회(AG) 활동을 중심으로 하종현이 펼친 다양한 실험적 시도를 소개하는 ‘3부: 한국아방가르드협회(AG)—새로운 미술 운동 시기(1969–1975)’와 그의 대표 연작 ‘접합’의 초기 작업을 만날 수 있는 ‘4부: 접합—배압법(1974–1975)’으로 이어진다.

하종현의 작업이 전개된 초기 흐름을 따라가는 이번 전시는 그의 작업이 사회적·역사적 맥락에서 어떤 방식으로 형성되고 진화했는지 보여준다. 이를 통해, 한국의 단색화를 선도하며 세계에 알린 주요 인물 중 한 명인 하종현의 다양한 예술적 실험이 오늘날 글로벌 미술 담론에서 여전히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지연은 2021년부터 미디어문화예술채널 앨리스온 에디터로 활동하였으며 2021년부터 2023년까지 samuso(현 Space for Contemporary Art)에서 전시 코디네이터로 근무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