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문화재단 ©서울문화재단

지난 1월 23일, 서울문화재단 송형종 신임 대표이사는 새로이 개편된 재단의 2025년 중점 방향을 발표했다.

서울문화재단은 서울을 세계적인 문화도시 Top5로 도약하는 것을 중점적인 운영 목표로 삼으며 다음과 같은 다채로운 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라 밝혔다.

제2회 서울예술상 시각 부문 최우수상 전시, 신미경 개인전 《시간/물잘: 생동하는 뮤지엄》(코리아나미술관, 2023) ©서울문화재단

1. 문화예술 국제교류 활성화
우선, 재단은 기초예술 중심의 다음 한류를 주도할 우수작품의 해외투어를 추진한다. 문화체육관광부, 해외 주재 한국문화원과 협력해 ‘서울예술상’에서 선정한 재단 예술지원 우수작품을 시작으로 창작지원에서 나아가 국제무대 진출에 도움이 되는 유통지원에 힘쓴다.

또한 ‘서울국제예술포럼’을 신설해 국내외 예술인과 석학들이 함께 미래예술 아젠다를 도출하고, 동아시아 청년예술인 교류, 동남아시아와 중동 지역의 문화기관과의 교류 등 세계 예술도시들과의 네트워크를 활용한 교류사업도 적극 확장한다.
 
2. 공연‧전시 정보포털 오픈
매년 700건 이상, 약 200억원 규모의 예산을 집행하는 재단의 ‘예술창작지원사업’ 선정작품 홍보를 돕는 공연‧전시 정보포털을 오는 6월 오픈한다. 민간 티켓예매 사이트가 대중·상업예술 위주로 운영되어 그간 다소 찾기 어려웠던 기초예술 분야의 우수 작품 정보와 작품별 전문가 리뷰, 시민 관객평 등 추천 작품을 한눈에 보기 쉽게 제공해 시민 접근성을 개선하고 작품 선택의 폭을 넓힌다.


그룹 푸하, 〈카오스모스〉, 2022, “서울거리예술축제 2022” 퍼포먼스 전경 ©서울문화재단

3. 글로벌 예술축제 ‘아트서울페스타’ 론칭
재단은 지난 20년간 쌓아 온 축제 운영 노하우를 살려 기초공연예술축제를 포괄하는 축제 브랜드 ‘아트서울페스타(가칭)’를 론칭한다. 공공과 민간이 주최하는 공연예술축제의 관객 타깃별 축제 큐레이션, 해외 관광객 유치 등 마케팅 협력을 적극 추진해 서울의 가을을 공연예술로 물들인다.
 
4. 권역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운영
오는 6월 ‘서울문화예술교육센터 은평’이 문을 열면 5개 권역별(양천, 용산, 강북, 서초, 은평) 문화예술교육 거점 공간 구축이 완료되어 본격 가동을 시작한다.
권역별 5개 센터는 재단의 문화예술교육 통합브랜드인 ‘서울시민예술학교’만의 커리큘럼과 결합해 연간 10만 명 방문, 1만 명 이상 시민의 프로그램 참여를 목표로 운영한다. 센터가 위치한 지역의 특성과 유수의 예술가들이 참여하여 장르별, 대상별 차별화된 콘텐츠로 누구나 손쉽게 양질의 예술을 경험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송형종 대표이사는 “새롭게 출발하는 재단은 예술가들이 자유롭게 창작할 수 있는 탄탄한 기반의 역할을 한층 더 강화해야 한다”라며, “기초예술 지원체계를 더욱 견고하게 정비하여 서울이 예술가를 위한 예술창작의 산실로, 세계를 선도하는 글로벌 문화예술 도시로서 경쟁력 높일 재단의 행보를 지켜봐 달라”고 포부를 밝혔다.

References

이지연은 2021년부터 미디어문화예술채널 앨리스온 에디터로 활동하였으며 2021년부터 2023년까지 samuso(현 Space for Contemporary Art)에서 전시 코디네이터로 근무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