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RTNOW.COM

K-artnow.com_2023.09.04_web
K-artnow.com_2023.09.04_web4
K-artnow.com_2023.08.28_web2
K-artnow.com_2023.09.04_web3
2023_0807_webbanner4
Slide
Slide
previous arrowprevious arrow
next arrownext arrow
Slide
Slide
Slide
Slide
Slide
Slide
Slide

지구에 대한 인간의 감각을 되돌아보는 전시 “유 세미나에서 지구까지”.. 외

Seoul Art Space Mullae

지구에 대한 인간의 감각을 되돌아보는 전시 “유 세미나에서 지구까지”

“YOU SEMINAR TO THE EARTH” Poster ©Seoul Art Space Mullae

9월 11일부터 10월 6일까지 문래예술공장 2~3층에서는 전시 “유 세미나에서 지구까지”를 진행한다. 이번 전시는 융합예술 분야에서 활동하는 기획자를 선정하여 지원하는 ‘언폴드엑스 기획자 캠프’ 선정 프로젝트 전시로, 홍희진 기획자가 기획하였다.

전시명에서 언급되는 ‘유 세미나 (You Seminar)’는 픽사의 애니메이션 영화 “소울 (Soul)”에서 등장한 공간으로, 아이들이 지구에 태어나기 전 머무는 공간이다. 전시는 ‘유 세미나’를 인간 이전의 세계로 상정하여, 인간과 기계의 자연적 능력으로 지구를 감각해 볼 것을 제안한다.

참여 예술가는 전형산, 양숙현, 남상봉, 윤희수, 오화진, 정성진, 조소희, 요한한, 총 8인이다. 2층에는 사운드를 매개로 한 전형산, 양숙현, 남상봉 작가의 작품들이 로비, 박스씨어터, 분장실에 설치되어 있다. 계단에 설치된 윤희수 작가의 사운드 설치작품 <물결 여행>(2023)을 따라 3층으로 올라가면, 오희진, 정성진, 조소희 작가의 작품을 볼 수 있다. 오희진 작가는 직접 쓴 단편 소설을 모태로 한 하이브리드 생명체를 공간에 설치하고, 정성진 작가는 흰색 종이를 이용해 종이접기 하여 기억과 관련한 사고 과정을 다룬다. 불완전한 원을 그리는 일에 대한 조소희 작가의 탐구는 엘리베이터를 포함한 전시 공간 곳곳에서 이루어진다. 요한한 작가는 퍼포먼스 <Threading – 시월상달의 춤> (2023)으로 참여하였으며, 9월 25일 저녁 7시 문래예술공장 옥상에서 선보일 예정이다.  

*문래예술공장의 1층에서는 ‘언폴드엑스 기획자 캠프’의 또 다른 선정 프로젝트인 “조각모음” (09.02 – 09.26)이 함께 진행되고 있다.

Platform-L Contemporary Art Center

중국 전통 문인화의 전통을 실험하는 작가 창야혼의 개인전 “야간이주”

Yahon Chang, Dream Land (Blossoms Flourishing: The Destination Series, 2014, Acrylic on canvas, 194x130cm ©Platform-L Contemporary Art Center

창야혼 (Yahon Chang, b. 1948) 작가의 개인전 “야간이주”가 플랫폼엘 컨템포러리 아트센터에서 9월 7일부터 10월 15일까지 진행된다. 이번 전시에서는 4개의 전시 공간에서 창야혼의 회화 46여 점이 전시된다.

청야혼은 중국 문인화 전통을 재해석하여, 서예 작업을 토대로 한 실험적인 방식의 수묵화를 제작한다. 회화를 캔버스 안에서만 일어나는 행위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몸-마음-무의식을 연결하는 행위로 보아, 대형 캔버스나 화선지 화폭 위에 서서 자신의 키와 비슷한 크기의 붓으로 드로잉을 하는 퍼포먼스 작업으로도 알려져 있다.

이번 전시는 1996년부터 2005년 사이에 제작한 두 개의 연작 <붓다의 그림자>와 <백화만발>을 중심으로 창야혼의 작품 세계를 조명하고, 이에 더해 2005년에서 2019년 제작한 일부 추상 풍경화들도 공개한다. Gallery 2와 Gallery 3에서는 <백화만발> 연작을 집중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분홍색, 흰색 등 생기 넘치는 색상들이 쌓여 완성된 대형회화 작품은 무릉도원의 이미지를 연상시킨다.  Annex 2와 Annex 3에서는 <붓다의 그림자>를 중심으로 전시가 이루어지는데 ‘백화만발’에서의 폭발적인 화면과는 달리 검은색 화면에 검은색 물감을 덧칠하여 부처의 모습이 캔버스 위에서 은은하게 드러난다.  

Former Embassy Residence

텅 비어 있는 주택에 고요하게 스며든 전시, “첨탑 밑에선 글을 짓지 않는 것이 좋다”

“BETTER NOT TO WRITE UNDER THE SPIRE” Installation view at Former Embassy Residence ©Euirock Lee

박지무 작가의 개인전 “첨탑 밑에선 글을 짓지 않는 것이 좋다”가 (구) 대사관저에서 9월 3일부터 30일까지 진행된다. 전시 공간은 과거 대사관저였던 공간으로, 가구 없이 텅 빈 주택의 구조를 그대로 이용한다. 전시 작품들은 작가가 전시공간과 한남동 인근을 배회하며 마주한 장면이나 사건들을 재구축하여 표현한 것들이다.

전시는 (구) 대사관저의 1층과 2층의 일부 방과 화장실 그리고 2층의 야외 테라스에 걸쳐 펼쳐지고 있다. 대사관저 앞의 작은 정원을 가로질러 전시 공간에 다다르면, 1층 거실과 일부 방들에 걸쳐 작품이 전시되어 있다. 흰 색감이 지배적인 평면작품 ‘나이프 드로잉’ 연작들과 < ONE CENTURY >(2023)은 주택의 흰 벽, 흰 장롱 등에 걸려 공간의 일부와 같이 느껴진다.  2층에는 주택의 공간들을 더욱 적극적으로 이용한 설치 작품들이 눈에 띈다. <흔들거리는 이빨을 10년째 만지고 있다> (2023)와 <구리동전> (2023)은 화장실과 화장실 근방 공간의 틈에 설치되어 있다. 야외 테라스에는 화분에 아크릴로 글씨와 드로잉을 더한 <무법자> (2023)가 전시되어 주택 공간을 익숙하면서도 낯설게 만든다.   

Most Views
World Art View
Most Views
World Art View
Art +
Post Views: 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