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RTNOW.COM

K-artnow.com_2023.09.04_web3
K-artnow.com_2023.09.04_web4
K-artnow.com_2023.08.28_web2
2023_0807_webbanner4
Slide
K-artnow.com_2023.09.04_web
Slide
previous arrowprevious arrow
next arrownext arrow
Slide
Slide
Slide
Slide
Slide
Slide
Slide

위클리 스티치: 아트넷 뉴스, 한국계 미국인 컬렉터 다우 킴과의 인터뷰.. 외

아트넷 뉴스, 한국계 미국인 컬렉터 다우 킴과의 인터뷰

Dow Kim with a pumpkin work by Yayoi Kusama. Image from artnet news. Courtesy of Dow Kim.

해외 미술 전문 매체인 아트넷 뉴스(Artnet News)에서는 한국계 미국인 다우 킴(Dow Kim)의 인터뷰를 다뤘다. 그는 1990년대부터 미술품 수집을 시작했다. 도쿄에서 재무 담당 임원으로 근무하던 중 동료로부터 일본의 한 미술 기관에서 여러 점의 그림을 매각한다는 소식을 접했다. 그는 거기서 마르크 샤갈(Marc Chagall)의 원본 작품을 구입했고, 그를 계기로 그는 컬렉터가 되었다. 그는 수년에 걸쳐 취향을 발전시켜왔으며 현재는 다양한 아시아 및 서양 현대 미술을 수집하고 있다. 그는 국제 아트  페어와 미술품 경매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작가와의 관계를 구축하기 위해 스튜디오를 방문하기도 한다. 그에게 작품 수집은 삶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

다우 킴은 수집 활동 외에 자선 활동에도 참여하고 있다. 그는 비영리·비정치 국제 기관인 아시아 소사이어티(Asia Society)의 이사를 역임했으며, 2018년에는 미국 내 한인들의 리더십, 교육, 예술 지원에 중점을 둔 다우 킴 가족 재단(Dow Kim Family Foundation)을 설립했다. 이 재단은 현재 4개의 비영리 단체에 재정 지원을 제공하고 있으며 현재 뉴욕 솔로몬 R. 구겐하임 미술관에서 진행 중인 한국 실험 미술 전시 “한국의 실험 미술, 1960-70년대”도 후원하고 있다. 다우 킴 대표는 지난해 첫 프리즈 서울에 참석해 한국이 중요한 미술 중심지로 부상하고 있으며, 많은 한국인들도 작품 컬렉팅을 시작하는 등 컬렉팅 열기가 뜨거워지고 있다고 보았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기사를 통해 확인해 볼 수 있다.

아트시, 이희준 작가 예술 세계를 소개하다​

Heejoon Lee, 'On Board a Ship,' 2022, Acrylic and photo-collage on canvas, 160 x 160 cm. Courtesy of the artist and Kukje Gallery. Image provided by Kukje Gallery.

해외 미술 플랫폼인 아트시(Artsy)에 이희준(b. 1988) 작가의 작업 세계가 소개되었다. 이희준 작가의 작품은 유화로 그린 추상 회화와 사진 콜라주를 혼합한다. 그는 자신의 작품을 하나의 이야기로 귀결시키지 않고 새로운 의미를 담아내는 플랫폼으로 여긴다. 그의 작품은 회화적 공간을 구성하며, 관객이 자신의 경험과 기억, 지식을 작품에 개입시켜 작품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새로운 의미를 창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희준 작가는 도시 환경에 초점을 맞춰 건물을 촬영하고 이를 예술로 표현해 왔다. 그는 일상적인 사물과 장소에서 새로운 의미를 찾는 ‘플라뇌르(flaneur)’로서 도시를 탐구한다. 작가는 도시에서 포착된 요소를 기하학적 형태로 추상화하여 특정한 장소를 매우 보편적인 공간으로 변화시키며 사진을 사용하여 도시 환경에 대한 독특한 시각을 표현하기도 한다. 최근 작품에서는 두껍게 물감을 칠하여 기하학적이면서도 대담한 2차원의 작품을 만든다. 이를 통해 추상 회화와 디지털 이미지 사이의 공간감과 대비를 강조한다.

이희준 작가의 추상적인 공간은 관찰자의 관점에 따라 다양한 의미의 장소를 넘나든다. 작가는 자신의 이미지가 다른 사람들을 통해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어내고, 자유롭고 비선형적으로 탐색되어 다른 이들과 공유할 수 있는 경험과 이야기가 되기를 희망한다고 전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기사를 통해 확인해 볼 수 있다.

Most Views
World Art View
Most Views
World Art View
Art +
Post Views: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