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RTNOW.COM

K-artnow.com_2023.09.04_web
K-artnow.com_2023.09.04_web4
K-artnow.com_2023.08.28_web2
K-artnow.com_2023.09.04_web3
2023_0807_webbanner4
Slide
Slide
previous arrowprevious arrow
next arrownext arrow
Slide
Slide
Slide
Slide
Slide
Slide
Slide

한국의 1세대 모더니스트 장욱진의 회고전 “가장 진지한 고백: 장욱진 회고전”.. 외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MMCA) Deoksugung

한국의 1세대 모더니스트 장욱진의 회고전 “가장 진지한 고백: 장욱진 회고전”

“The Most Honest Confession: Chang Ucchin Retrospective” Installation view at MMCA Deoksugung ©MMCA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에서는 2023년 9월 14일부터 2024년 2월 12일까지 장욱진(b. 1917) 작가의 회고전 “가장 진지한 고백”을 진행한다.

장욱진은 한국 근현대 미술의 2세대 서양화가 이자 1세대 모더니스트로, 1920년대부터 1990년 작고하기 이전까지 60여 년간 작품 활동을 이어갔다. 60여년 간 그는 까치, 나무, 해와 달과 같은 제한된 소재만을 그렸는데, 그럼에도 재료와 창작 태도를 변화시키며 작품 세계를 확장해왔다. 이번 전시는 장욱진에 작품 270여 점을 공개하며 작가의 작품 세계를 종합적으로 살펴볼 뿐만 아니라 학술적 연구를 통해 그의 작품들을 다시금 평가해 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전시는 총 4부로 구성되어 1부와 4부에서는 청년기, 중장년기, 노년기로 나누어 그의 작품들을 살펴본다. 연대별로 장욱진의 활동 궤적을 좇으며 작가가 창출한 한국적 모더니즘과 노년기에 이를수록 화면의 색층이 얇아지는 등의 변화들을 포착할 수 있다. 2부에서는 그가 집중하던 소재들을 조명하여 그의 작품에서 소재들이 형성하고 변모해 가는 과정을 확인한다. 3부에서는 작가의 불교적 세계관과 철학적 사유를 다루어 그의 세계를 더 깊이 들여다본다. 이외에도 이번 전시에서는 장욱진 관련 아카이브들을 통해 작가의 초기 행적을 알아보고, 기존의 작품명, 연보 등에 있던 오류를 바로잡는 등의 새로운 연구 성과를 공개한다.

Coreana Museum of Art

코리아나미술관의 개관 20주년 기념 국제기획전 “Step x Step”

“Step x Step” Installation view at Coreana Museum of Art ©Coreana Museum of Art

코리아나미술관에서는 9월 14일에서 11월 30일까지 전시 “Step x Step”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코리아나미술관의 개관 20주년을 기념해 진행되는 국제기획전이다. 전시는 제목이 암시하듯 ‘스텝’에 대한 작품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시 작품 15점은 모두 ‘걷기’라는 일상적 행위를 중심에 두고 있다. 전시의 ‘걷기’에 대해 관심은 ‘신체’를 둘러싼 담론들을 꾸준히 다루어 왔던 코리아나 미술관의 전시 기획의 연장선 상에 있다.

첫 번째 전시 공간에서는 ‘걷기’라는 행위에 온전히 집중한 브루스 나우먼, 차이밍량, 에브리 오션 휴즈, 클라라 리덴의 영상 작업들을 볼 수 있다. 이들은 각각 과장된 걷기 (브루스 나우먼), 극단적으로 느린 속도의 걷기(차이밍량), 땅과 수평으로 걷기 (에브리 오션 휴즈), 문워크(moonwalk)로 걷기(클라라 리덴) 등을 펼치며 ‘걷기’라는 움직임을 새롭게 환기한다. 두 번째 전시 공간에서는 걷기를 기반으로 한 보다 역동적인 움직임들이 등장한다. 신제현은 같은 지시어에 제각각의 해석을 더하며 동일하지 않은 움직임을 보이는 퍼포머들에 집중하고, 폴린 부드리/레나테 로렌츠는 추격자들을 속이기 위해 신발을 거꾸로 신고 걸어간 쿠르드족의 움직임에서 퍼포먼스를 출발한다. 강서정은 음의 높이, 박자, 신체의 움직임까지 담아내었던 한국 전통 악보 정간보의 구조를 바탕으로 한 직물 작업을 공개한다.

Asia Culture Center (ACC)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이 주목한 서아시아와 한국의 20세기 회화, 전시 “일상첨화”

Amine El Bacha, Beirut Group, 1972, Oil on canvas, 96×138.5cm ©Dalloul Art Foundation & Amine El Bacha Foundation

국립아시아문화전당(ACC)에서는 김환기, 천경자, 오지호, 임직순, 아민 엘 바샤(Amine El Bacha), 파테 무다레스(Fateh Moudarres)가 참여한 전시 “일상첨화”를 9월 14일부터 12월 3일까지 공개한다.

이번 전시는 2017년부터 아시아 권역 교류 촉진을 위해 ACC가 진행해 온 아시아 주제전의 일환으로, 20세기 서아시아의 미술, 특히 레바논과 시리아의 미술을 살펴볼 기회를 제공한다. 전시는 서아시아와 한국이 20세기 초 식민지 역사를 겪었다는 공통점을 바탕으로 서아시아 작가들의 작품들을 20세기 한국의 대표적인 네 작가 김환기, 천경자, 오지호, 임직순의 작품과 교차해 관람할 수 있게 한다. 20세기 제국주의라는 동일한 시대적 배경에서 이루어진 여섯 작가의 회화는 서로의 고유한 독창성을 기반으로 공명한다.

뿐만 아니라 ACC에서는 “일상첨화”와 함께 환경과 기후에 대한 논의를 다룬 야외 전시 “하늬풍경”(09.14 – 11.19) 과 2023 ACC 공모로 선정된 이은정, 유지원 작가의 전시 “틈이 내게 말을 걸어올 때” (09.14 – 12.31)를 동시에 개최했다.

Most Views
World Art View
Most Views
World Art View
Art +
Post Views: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