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RTNOW

홍경택 작가의 ‘훵케스트라’ 연작: 색, 형태 그리고 아이콘들의 하모니

홍경택 작가의 연작 중 ‘훵케스트라(funkchestra)’는 훵크(funk)와 오케스트라(orchestra)의 합성어이다. 작가는 종교, 대중문화, 소비문화, 음악과 미술 등 다양한 요소들이 하모니를 이루는 ‘훵케스트라’ 연작을 통해 동시대성을 보여 준다.

Artist Hong Kyoungtack. Courtesy of the artist and K-ARTIST.COM

2000년대 국제 미술계는 브라질, 아프리카, 인도, 러시아 등 다양한 국가 출신의 작가들을 주목하기 시작했다. 무엇보다도 1990년대 이후 중국의 급속한 성장을 통해 동아시아 미술 시장의 판도가 바뀌어가고 있었다. 이 흐름을 통해 한국의 미술계는 해외 시장 개척을 위해 국내 작가를 공격적으로 해외에 소개하고 있었다.

홍경택(b. 1968) 작가는 이러한 2000년대 국제 미술 무대의 세계화 현상, 국제 미술 시장의 폭발적 성장, 한국 현대 미술계의 발전과 같은 배경 속에서 활동을 시작했다. 특히 여러 옥션과 아트 페어에 활발하게 참가하던 홍경택 작가는 2007년 홍콩 크리스티 경매에서 그의 작품 ‘연필 1’이 한국 작가의 작품 중 최고가로 낙찰되며 국내 미술계에서 큰 주목을 받았다.

홍경택 작가는 ‘펜’ 연작으로 국제 미술 시장에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지만, ‘훵케스트라’ 연작, ‘서재’ 연작 등 다양한 연작을 통해 자신의 작업 세계를 확대하고 발전시켜 왔다. 그의 회화 작품은 펜과 책, 인물과 같이 매우 구체적인 대상을 묘사하지만 작품의 전체적인 구성은 오늘날까지 우리가 쌓아 온 역사, 문화, 사상처럼 추상적인 모습으로 표현되어 있다.

‘펜’ 연작은 매끈한 플라스틱 표면을 가진 펜이 펜꽂이에 한가득 꽂혀 있는 모습을 표현한 작품군으로 소비 중심적 사회에 억눌린 인간의 욕망을 표현하고 있다. 또한 ‘서재’ 연작은 켜켜이 쌓인 책과 서재의 모습을 통해 오랫동안 “인간의 역사가 집적된 현장”을 함축적으로 표현한다.

Artist Hong Hong Kyoungtack. Courtesy of the aritst.

그의 여러 연작 중 ‘훵케스트라(funkchestra)’는 종교, 대중문화, 소비문화, 음악과 미술 등 다양한 요소들이 이루는 하모니를 통해 작가가 생각하는 동시대의 모습을 비춘다.

“‘훵케스트라(funkchestra)’는 훵크(funk)와 오케스트라(orchestra)의 합성어”로, 작가는 펑크를 “흥(groovy)을 느끼게 하는 모든 음악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했다”고 설명한다. 따라서 그는 작품명에 쓰는 훵크와 음악 장르인 펑크를 구별하여 사용한다.  

펑크 음악은 1960년대 후반에 등장한 아프리카계 미국인 고유의 대중 댄스 음악 스타일로, 펑키 뮤지션들은 매우 화려하고 요란한 복장과 함께 반복적이고 강한 리듬을 만든다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오케스트라는 클래식 음악인 교향곡을 연주하기 위한 관현악단이다. 하지만 홍경택 작가의 ‘훵케스트라’는 펑크 음악 자체보다는 펑크 음악이 갖는 대중적 성격을, 그리고 오케스트라가 갖는 전통적이며 클래식한 특성을 드러내기 위해 두 소재를 차용했다.

홍경택 작가는 2001년부터 ‘훵케스트라’ 연작을 작업하기 시작했지만 대중과 미술계에 공개적으로 이를 발표한 것은 2005년이다. 홍경택 작가는 2004년 가나 아뜰리에 입주를 계기로 2005년 아르코미술관 개인전에서 해당 연작을 발표했다.

홍경택 작가는 ‘훵케스트라’를 통해 종교와 현실, 삶과 죽음, 존재와 부재가 공존하는 인간 삶에 관한 성찰을 작품으로 표현한다. 즉, 이 연작에서는 작가의 개인적 관심과 취향, 그리고 동시대적 사회상과 문화적 요소들이 색채와 형태로 하모니를 이뤄 낸다.

Hong Kyoungtack, 'Fuck and Roll,' 2008-2009, Acrylic, oil on linen, 71.2 x 89.3 in (181 x 227 cm). Courtesy of the artist.

화려한 색채와 형태를 가진 이 작품에서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것은 정중앙에 극사실적으로 그려진 인물이다. 그림은 마치 거룩한 인물을 묘사한 서양의 종교화를 떠올리게 한다. 중앙의 인물은 다소 차분한 색감을 갖고 있으며 매우 사실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그러나 묘사된 인물들은 신이나 성인이 아니다. 그들은 오늘날 대중문화를 포함한 문화 예술계의 아이콘들이다.

작가는 “몇 세대를 걸쳐 (이름이) 살아남을 만한 사람들”을 선정해 이들을 작품에 옮겨 넣었다. 오드리 헵번(Audrey Hepburn), 엘리자베스 테일러(Elizabeth Taylor), 앤디 워홀(Andy Warhol), 비틀즈(The Beatles), 마돈나(Madonna), 그리고 BTS(방탄소년단)에 이르기까지 한 분야의 역사에서 아주 오랫동안 언급될 법한 인물들을 표현한다. 해당 연작에서 작가는 성인이 우상의 대상인 것처럼 현대에 변화된 우상의 대상을 표현한다.

한 시대를 대표하는 오늘날 문화예술의 아이콘 뒤는 마치 광배(光背)가 퍼져 나가는 듯한 장식으로 꾸며져 있다. 하지만 이 후광은 신비롭고 경외감을 자아내는 종교화의 그것과는 달리 오히려 대중음악에서 찾아볼 수 있는 무대의 눈부신 조명처럼 강렬한 시각적 요소로 드러나 있다.

작품의 배경은 정중앙에 그려진 극사실적 인물에 비해 추상적이며 톡톡 튀는 팝적인 요소를 지니고 있다. 성당 스테인드글라스를 떠오르게 하기도 하는 배경은 디자인적 패턴으로 양식화되어 있다. 작가는 처음에는 배경의 화려하고 빽빽한 패턴을 하나씩 하나씩 유화로 그려 나갔으나 곧 색인 스티커를 활용해 아크릴 물감으로 패턴을 그려 나가는 방식을 택한다. 이러한 기법과 재료를 통해서 작가는 더 맑고 톡톡 튀는 색감의 배경을 가질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중앙의 극사실주의적이며 다소 차분한 색감의 인물과 명확한 대비를 만들어 낼 수 있었다.

Hong Kyoungtack, 'BTS,' 2019, Acrylic, oil on linen, 200 x 200 cm. Courtesy of the artist.

‘훵케스트라’ 연작의 또 다른 특징은 캔버스 네 모퉁이에 위치한 과감한 문자이다. 고딕체로 굵게 강조된 글자와 함께 어우러진 형태들은 서양의 성경책에 화려하게 꾸며진 글자를 연상시키기도 하지만 현대의 포스터나 공고판을 떠오르게 하기도 한다. 작가는 때때로 그림의 정중앙에 인물 대신 노랫말을 넣기도 한다. 작품에 들어간 글자들은 작가에게 있어서 동시대를 관통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지는 단어나 노랫말이다.

평소 대중음악을 즐겨 듣는 작가에게 2000년대 대중음악은 중독적이며 반복적인 리듬을 가지고 있다. ‘훵케스트라’ 연작의 화려한 색채와 다양하고 일정한 패턴은 이러한 현대 대중음악의 특징적 리듬을 나타내기도 한다.

‘훵케스트라’ 연작에 대해서 작가는 “종교에서 포르노까지 우리 시대의 모습을 생생한 날것 그대로 그리고 싶다”고 설명한다. 작가는 현대와 고전,  컬러와 흑백, 패턴(추상)과 리얼리즘, 성과 속, 폐쇄와 분출, 고급문화와 대중문화, 회화와 디자인, 종교와 포르노를 교차하면서 미술과 대중문화, 금기와 클래식, 삶과 죽음, 종교와 세속 등 다양한 삶의 속성을 이야기한다.

Editor’s Picks

Most Views

Editor’s Picks

Most Views

Artist
Post Views: 3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