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RTNOW.COM

K-artnow.com_2023.09.04_web
K-artnow.com_2023.09.04_web4
K-artnow.com_2023.08.28_web2
K-artnow.com_2023.09.04_web3
2023_0807_webbanner4
Slide
Slide
previous arrowprevious arrow
next arrownext arrow
Slide
Slide
Slide
Slide
Slide
Slide
Slide

마틴 그로스의 국내 첫 개인전 “Dream File”.. 외

FOUNDRY SEOUL

마틴 그로스의 국내 첫 개인전 “Dream File”

“Dream File” Installation view at FOUNDRY SEOUL ©FOUNDRY SEOUL

파운드리 서울에서는 7월 21일부터 9월 16일까지 마틴 그로스(Martin Gross, b. 1984)의 국내 첫 개인전 “Dream File”을 개최한다.

마틴 그로스는 온라인 현실에 관해 작업한다. 그는 온라인상의 현상 그리고 온라인으로 흘러들어와 곧 우리의 현실을 구축하게 되는 여러 정보에 주목한다. 그는 이러한 이야기를 이미지, 밈, 텍스트, 광고 문구 등을 잘라내기 기법(Cut-up technique), 몽타주 기법의 편집 과정을 거쳐 하나의 영상 작업으로 담아낸다. 전시 속 대형 애니메이션 < Oh Sega Sunset > (2023)에서는 검은 배경에 주황색의 텍스트로 작가가 직접 적은 문구나 가벼운 농담들이 광고 문구처럼 펼쳐진다. 더불어 팝적인 이미지와 텍스트 및 여러 시각 기호가 뒤섞인 회화 역시 제작하는데, 이번 전시에서는 신작 회화 12점을 볼 수 있다. < Night Forest >(2023), < Grey Skies Turquoise Days >(2023>, < Distant Lover >(2023)와 같은 회화들은 정보와 패턴들이 과적재되어 있는 우리의 온라인 화면을 연상시킨다.

전시의 제목인 ‘Dream File’은 사회학자이자 철학자 테드 넬슨(Ted Nelson)이 자신이 구상한 ‘하이퍼 텍스트 (hypertext)’라는 개념을 설명하는 데에 있어 사용한 단어이다. 전시는 이를 발췌하여, 마틴 그로스의 작업을 통해 관람객이 개인의 경험이나 시선에 따라 비선형적으로 사고하게 되는 과정이 마치 하이퍼 텍스트와 유사함을 이야기하는 것이다. 이러한 전시의 특성으로, 관객은 오늘날의 디지털 환경을 인지하는 자신의 감각 체계를 메타적으로 되짚어 볼 수 있을 것이다.

ThisWeekendRoom

개에서 출발한 이야기들: 전시 “End of Summer”

“End of Summer” Installation view at ThisWeekendRoom ©ThisWeekendRoom

8월 4일부터 9월 9일까지 디스위켄드룸에서는 이승희 (b. 1994) 작가의 개인전 “End of Summer”가 펼쳐진다.

이승희 작가는 개와 인간의 유대관계를 기반으로 작업하며 인간과 동물의 상호 작용과 공존 가능성을 모색한다. 작가는 개의 형상을 유머스럽게 비틀며 회화, 설치, 조각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이야기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여러 문화 속 개에 얽힌 신화와 설화적 요소들을 통해 초현실적인 모습으로 개를 표현했다. 미래를 점치는 타로카드, 소원을 비는 해우소, 별자리 설화, 그리스 신화 등 여러 서사들을 이용하여 화면 속에서 인간과 신, 동물을 교차시킨다. 회화 < End of Summer >(2023)에서는 아르테미스, 악타이온의 신화와 같은 여러 신화의 서사가 개의 모습을 바탕으로 혼재되어 있다. 푸른 색감이 감도는 커다란 회화 속 개는 정중앙에서 유니콘을 타고 있고, 그의 양 옆으로 신화를 연상시키는 장면들이 환상의 한 단편과 같이 재현되어 있다. 입체작업 <해우소, 휴먼 무슨 고민이 있는가?>(2023) 에서는 도사의 모습을 한 개가, <강아지풀>(2023)에서는 강아지풀을 잡고 있는 여리고 푸른 손이 등장하며 유머러스하면서도 애틋하게 개의 형상이 변주된다.

개가 먹다 흘린 사료조각에서 밤하늘의 이야기를 발견한다는 작가의 말에서 알 수 있듯, 전시는 작가의 애정 어린 시선에 힘입어 관객들을 작품 속 세계로 끌어들인다.

Pluripotent Art Space

광활한 우주 속 존재의 당위를 찾는 전시 “1≥∞”

“1≥∞” Installation view at Pluripotent Art Space ©Pluripotent Art Space

플루리포텐트 아트 스페이스에서는 8월 4일부터 8월 17일까지 고상현 작가의 개인전 “1≥∞ (1은 무한보다 크거나 같다)” 가 펼쳐진다.

고상현은 우주에 대한 관심을 토대로 존재에 대해 탐구해왔다. 작가는 우주의 구성요소를 작품에서 다루며 객관적인 과학의 체계 내에서 자명하게 여겨지는 것들의 틈새를 실험한다.

이번 전시 역시 이러한 작업의 연장선으로, 감정을 배제한 논리적인 방식으로 인간의 존재를 증명하려 하는 듯하다. <청색 편이>(2021)는 머리카락, 눈물, 먼지 등 작가의 배출물을 안료로 하여 91장의 별자리 지도를 그려낸 작품이다. 이는 자신이 일성적으로 먼지와 배출물을 만들어내는 과정을 우주가 먼지를 만들어내는 과정과 병치하여 그 유사성을 밝히기 위함이다. 더불어 작품의 제목인 ‘청색편이(blueshift)’는 ‘적색편이(redshift)’의 반대 현상으로 빛을 내는 물체가 가까워지면 빛의 파장이 짧아져 청색으로 보이는 현상이다. 청색편이를 우주론적 적색편이의 반대 개념으로 이해할 경우 우주가 한 점으로 수축한다는 표현이 가능한데, 작가는 이를 우주가 한 개인으로 수렴되는 것이라며 우주의 이야기를 존재적 당위성과 연결시키고 있다.

전시에서는 이처럼 우주와 존재라는 거대한 담론을 탐구해가는 작가의 여정에 동참해볼 수 있을 것이다.

Most Views
World Art View
Most Views
World Art View
Art +
Post Views: 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