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미나(b.1973) 작가의 개인전 “아홉 개의 색, 아홉 개의 가구”가 7월 28일부터 10월 8일까지 아뜰리에 에르메스에서 진행된다.
박미나 작가는 각양각색의 물감들을 수집해 그 색들을 혼합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는 특징적인 작품활동을 해왔다. 색과 단순한 이미지들을 수집하는 행위는 곧 사회 문화적 메커니즘과 연동되어 회화의 화면에 펼쳐진다. 대표적으로는 전국에 있는 모든 오렌지색 물감을 수집해 작업한 ‘오렌지 페인팅’(2002- 2003), 간단한 이미지 혹은 기호로 문자를 대신하는 딩벳 폰트를 활용한 ‘딩벳 회화’ 작업 등이 있다. 이렇듯 박미나 작가의 작품은 기록적 성격을 띰과 동시에 이미지와 색이라는 회화의 본질적인 구성요소의 탐색을 보여준다.
이번 전시에서는 ‘아홉 개의 색, 아홉 개의 가구’ (2023) 연작을 볼 수 있다. 이 작품은 ‘오렌지 페인팅’ (2002-2003)과 2004년 국제 갤러리에서 전시되었던 아홉 개의 색과 아홉 개의 가구를 매치한 작품과 동일한 형식으로 19년 만에 제작된 것이다. 블랙, 블루, 그린, 그레이, 오렌지, 레드, 바이올렛, 화이트, 옐로우 등 9개 명칭의 국내 유통 물감을 전수 조사하여 이를 평균 1.5cm 두께의 스트라이프 형태로 만든 후 이 규모에 부합하는 가구를 연결 짓는 방식이다. 이러한 작품은 회화 자체의 담론을 넘어 물감과 관련한 사회적 규약, 한국의 주거 문화 변화 등의 주제들을 함께 지시한다.
이번 전시는 회화 자체의 구성요소를 탐구하면서도 이를 통해 현실 세계와 제도를 포착해 내는 박미나 작가의 작품들을 주의 깊게 살펴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두산 갤러리에서는 곽소진, 리에 나카지마, 배해률, 이경민, 정철규 작가가 참여한 전시 “#2” 가 7월 26일에서 8월 20일까지 공개된다.
전시는 ‘두산 큐레이터 워크샵’ 프로그램의 일환이다. ‘두산 큐레이터 워크샵’은 젊은 큐레이터를 발굴, 지원하는 프로그램으로 매년 3명의 큐레이터를 선정해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이후 참여자들은 두산 갤러리에서 1년간의 교육, 연구의 성과를 공동 기획 전시의 형식으로 선보일 수 있다. 이번 전시는 12회 선정자인 이미지, 이민아, 이민주 기획자가 공동으로 기획한 것이다.
“#2”는 전시를 기존의 질서를 분절하고 이를 토대로 관객 각자의 장면을 그려볼 수 있는 사건으로 여긴다. 참여 작가 중 한 명인 배해률의 희곡 「염소구제작업」(2023)은 전시의 중심축이 되어 나머지 네 작가는 각자 희곡의 한 파편을 토대로 한 작품을 선보인다. 이들은 희곡을 함께 읽으며 각자의 방식으로 희곡에 응답한다. 곽소진은 영상, 이경민은 판 구조물, 리에 나카지마는 소리 조각, 정철규는 수 놓기 혹은 드로잉의 방식으로 희곡을 바라본다. 이들의 작품은 서사의 순으로 희곡을 다루기보다는 각자가 사용하는 매체와 희곡을 이해한 방식 그리고 전시라는 형식에 맞추어 새로운 장면으로 나아간다.
“#2”는 전시라는 특수한 시공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전시가 만들어 낼 수 있는 극적인 순간과 관객이 교감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하고자 한다.
전시 “프리페어드 라이프: 인형, 퍼펫, 크리처”가 7월 20일부터 8월 12일까지 THIS IS NOT A CHURCH (이하 TINC)에서 펼쳐진다.
전시는 ‘인형’이 가진 외연을 인형극을 할 때 주로 사용되는 ‘퍼펫’ (puppet), 종(species)이나 범주가 명확하지 않은 존재를 지칭하는 ‘크리처 (Creature)’로 확장해 이해하며 비인간 세계를 조명하고자 한다. 전시의 서문에서는 고대에서 현재에 이르는 인형의 역사적 변천 및 활용의 과정을 좇으며 인형은 시대상을 반영해 달라져 왔음을 밝힌다. 이렇듯 인간의 삶 속에는 인형의 방식으로 비인간이 이미 오래전부터 침투해 왔다며 전시는 비인간을 향해 나아가보는 일의 필요성을 이야기한다.
참여 작가 8인 민혜기, 로리 시몬스, 유영진, 이동욱, 바질 트위스트, 함준서, 최수진, 황혜란은 사진, 영상, 미디어 아트, 퍼포먼스, 설치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야기를 더한다. 유영진은 작가가 키우는 다육질의 식물들과 이를 돌보는 과정에서 발생한 이야기, 사물들을 엮어낸다. 함준서는 길고 뾰족한 입, 네 개의 다리를 가진 크리처가 담긴 3D 에니메이션 연작 < Oridons, Bauplan >을 공개한다. 최수진과 황혜란은 7월 28일과 29일에 걸쳐 ‘더하기곱하기는별(+×=☆)’ 이라는 제목의 퍼포먼스를 통해 의자, 공, 전선 등의 사물을 탐구하며 전체가 아닌 부분으로서의 몸을 살펴본다.
전시는 인형에 대한 탐구로부터 비인간 담론을 확장하고 인형이라는 사물 그리고 비인간을 이해하는 오늘날의 맥락을 한층 심화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