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RTNOW.COM

K-artnow.com_2023.09.04_web
K-artnow.com_2023.09.04_web4
K-artnow.com_2023.08.28_web2
K-artnow.com_2023.09.04_web3
2023_0807_webbanner4
Slide
Slide
previous arrowprevious arrow
next arrownext arrow
Slide
Slide
Slide
Slide
Slide
Slide
Slide

서울시립 북서울 미술관 개관 10주년 기념전 “SeMA 앤솔로지: 열 개의 주문”.. 외

Buk - Seoul Museum of Art

서울시립 북서울 미술관 개관 10주년 기념전 “SeMA 앤솔로지: 열 개의 주문”

“Anthología: Ten Enchanting Spells” Installation view at Buk-Seoul Museum of Art © Seoul Museum of Art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에서는 8월 3일부터 10월 25일까지 “SeMA 앤솔러지: 열 개의 주문”을 진행한다. 참여 작가는 구기정, 권혜원, 기슬기, 김상진, 노은주, 박경률, 박성준, 박이소, 전병구, 최재원 총 10명이다.

전시는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의 개관 10주년을 맞아 기획된 기념전으로 ‘상상’의 형식적, 주제적 본질에 주목한다. 전시는 상상을 무한한 가치 창출의 원천이자 시공간을 확장하는 것으로 보고 특히 상상을 언어화하는 구조를 전시의 구성에 적용하고자 한다. 서문에 따르면, 개별 작품들은 ‘조건의 재설정’, ‘기호로서의 질문’, ‘수사학적 전략’과 같은 언어의 기법을 시각적으로 구현한다.

전시는 3D 공간에서 합성한 디지털 이미지와 영상으로 흙, 나뭇잎, 이끼와 같은 주변의 풍경을 재구성한 구기정 작가의 <초과된 풍경> (2021/2023)으로 시작한다. 이를 이어 램프들이 일제히 벽을 비추고 있는 박이소 작가의 <당신의 밝은 미래> (2002) 와 북서울미술관 개관 이후 개최된 전시의 포스터에서 텍스트 정보를 제거하고 그 이미지를 연대기 순으로 배치한 기슬기 작가의 작품들도 살펴볼 수 있다. 눈에 띄는 것은 이번 전시를 위해 최재원 시인이 집필한 열 한 편의 시 <목련 나무 아래에서> (2023) 가 전시 작품으로 더해졌다는 사실이다. 검은색 화면 속 흰 글자로 적혀진 시가 영상의 속도에 맞춰 천천히 흘러가는데 설명에 따르면 이 시는 전시의 풍요로움을 더해주는 제3의 공간으로 작동한다.

전시 명인 앤솔러지의 어원인 ‘anthología’는 꽃다발을 의미하는데, 전시는 이처럼 관객에게 개관 10주년을 맞아 미술관의 과거, 현재, 미래의 얼개를 한데 모아 펼쳐내고 있다.

Daecheong Ho Museum of Art

대청호를 바라본 세 작가의 작품: “2023 청주시립대청호미술관 전시지원 공모선정전”

“2023 CMOA DAECHEONGHO COMPETITION EXHIBITION” Poster © Daecheong Ho Museum of Art

8월 4일부터 10월 3일까지 청주시립 대청호 미술관에서 “2023 청주시립대청호미술관 전시지원 공모선정전”이 진행된다.

청주시립 대청호 미술관 전시지원 공모는 올해로 8회를 맞이했다. 이번 2023 전시공모에서는 대청호의 장소 특정적 성격과 동시대의 자연환경의 문제를 다루고 있는 전시 혹은 작품을 선정의 중요한 기준으로 삼았다. 선정된 세 작가 (팀) 홍유영, 김박현정 x 손유화, 김라연은 각자의 주제로 프로젝트 전시를 선보인다.

홍유영 작가는 설치, 조각 등의 입체작업을 통해 공간의 맥락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작가로 특히 도시 공간의 변화에 집중해 왔다. ‘The Hydrology Project’에서 작가는 시작과 끝이 존재하지 않고 순환하는 물의 성질에 주목하여 물에서 발생하는 이질적인 관계들의 연속성을 관찰한다. 김박현정x손유화 작가는 ‘Your Face Was Wet’에서 물의 표면에 집중해 각자의 매체를 탐색한다. 김박현정 작가는 폐섬유를 지지체 삼아 대청호와 그 주변 생태환경을 사진 설치와 영상으로 담아내고, 손유화 작가는 캔버스를 물속에 넣어 그리거나 물속과 물 밖에서 그림을 그리는 과정을 중첩하며 자신의 매체를 실험한다. 김라연 작가는 도시의 변화와 생태 풍경에 관심을 가진 작가인데, 이번 전시 ‘텍스트 생태’에서는 대청호의 시간과 기억에 초점을 맞춰 대청호의 풍경을 그리고 대청호 지역에 서식하는 동식물의 이미지, 이름, 학명 등을 이용해 사전적인 작업을 진행했다. 전시에서는 이렇듯 대청호의 자연환경을 배경으로 한 여러 작품들을 만나볼 수 있다.

Gwangju Museum of Art

광주에서 움튼 추상: 전시 “추상의 추상”

Kim Whanki, 30-Ⅲ68#6, 1968, oil on canvas, 121.3×85.6cm ©Whanki Foundation · Whanki Museum

광주시립미술관은 7월 21일부터 11월 26일까지 광주미술 아카이브전의 일환인 “추상의 추상”을 선보인다. 이번 전시에서는 김환기, 김보현, 강용운, 양수아, 김용복, 정열렬, 최종섭, 김영중, 탁연하의 작품들이 전시된다.

이번 전시는 남도 추상미술의 선구자들을 살펴보는 전시로, 한국에서 추상 미술이 쉽게 받아들여지지 않던 시기 추상의 움직임을 보여주었던 작가들의 작품들을 조명한다. 전시는 총 1, 2, 3부로 나뉘어 진행된다. 전시의 각 세션은 참여 작가들의 활동 시기를 바탕으로 나뉘어진 것이다. 1부에서는 해방 이후부터 1950년대에 주로 활동한 추상 1세대 작가들의 작품을 다루며 김환기, 김보현, 강용운, 양수아의 작품을 살펴볼 수 있다. 2부에서는 1960년대 활동한 1세대 작가들에게 미술 수업을 받았거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준 추상 2세대 작가 김용복, 정열렬, 최종섭의 작품이 펼쳐진다. 마지막 3부에서는 추상 조각 1세대 작가들의 작품을 볼 수 있으며 김영중, 탁연하의 조각이 그것이다. 전시는 이러한 흐름과 함께 작가들에 대한 상세한 개별 설명을 더하며 개개인의 추상 작품을 조명하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추상의 추상” 전은 지난 7월 9일 광주 비엔날레가 막을 내린 이후 그 여운을 잔잔하게 이어가며 광주에서 싹을 틔운 추상의 궤적을 둘러볼 수 있게 한다.

Most Views
World Art View
Most Views
World Art View
Art +
Post Views: 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