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RTNOW.COM

K-artnow.com_2023.09.04_web
K-artnow.com_2023.09.04_web4
K-artnow.com_2023.08.28_web2
K-artnow.com_2023.09.04_web3
2023_0807_webbanner4
Slide
Slide
previous arrowprevious arrow
next arrownext arrow
Slide
Slide
Slide
Slide
Slide
Slide
Slide

믿음과 욕망으로 부서지고 세워지는 도시의 풍경: 전시 “Solid, Weak, Temple”.. 외

Chamber 1965

믿음과 욕망으로 부서지고 세워지는 도시의 풍경: 전시 “Solid, Weak, Temple”

“Solid, Weak, Temple” Installation view at Chamber 1965 ©Aproject Company

김둥지, 류우석, 안진선 작가가 참여한 전시 “Solid, Weak, Temple”이 8월 3일부터 8월 20일까지 챔버 1965에서 진행된다.

전시는 견고함과 사라짐 사이에서 진동하는 도시의 풍경에 대해 말한다. 전시는 우리의 도시가 균일하고 안정적이기보다는 믿음과 욕망으로 지속적으로 변화하며 점차 불균질해지는 하나의 공간이라 이야기한다. 전시 공간 ‘챔버 1965’는 대다수의 전시 공간과 같이 흰 벽으로 매끈하게 덮여 있는 것이 아니라 골조가 그대로 노출되어 공간이 가진 고유한 특징을 느끼게 한다. 전시의 작품들은 공간의 이러한 특징과 공명하면서 도시의 감각을 더욱 선명히 드러낸다.

안진선은 합판을 이용해 각진 모서리에 곡선이 더해진 형태의 조형물을 설치했다. 안진선의 작품은 류우석의 작품이 놓이는 지지대가 되기도 하고 공간의 일부와 같이 느껴지기도 하며 외부를 향해 개방된다. 류우석은 전시장에 원래 놓여있던 좌대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한 사물의 변화를 드로잉했다. 그의 드로잉에서 이러한 변화는 하나의 사건으로 여겨지며 드로잉의 공간 안에서 새로운 생명력을 얻는다. 김둥지는 전시장을 하나의 도시이자 사원으로 상정해 종교적 도상의 형태를 띤 조각을 전시한다. 더불어 시멘트로 제작된 정사각형 형태의 조각 <상(像)> (2023)은 벽에 부착되어 벽과 작품의 경계를 뒤섞는다.

견고하면서도 요동치는 도시의 속도, 도시의 풍경은 이들의 작품에서 각자의 형태로 변용되어 관객에게 가닿는다.

Cheongju Art Studio

17기 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 입주작가들의 작품을 소개하는 전시: 임윤묵 작가의 “양탄자 무늬”와 황아일 작가의 “프랙투스 프랙탈”

“The Figure in the Carpet” ©Cheongju Art Studio
“Fractus Fractal” Poster ©Cheongju Art Studio

8월 1일에서 8월 13일까지 청주 미술 창작스튜디오에서는 ‘2023 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 17기 입주작가 릴레이 프로젝트’의 첫 시작으로 임윤묵 작가의 “양탄자 무늬”와 황아일 작가의 “프랙투스 프랙탈”이 진행된다. 2023 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 17기 입주작가 릴레이 프로젝트에서는 총 14명의 작가들이 스튜디오 입주 기간 동안 작업한 작품을 8월 1일부터 12월 24일에 걸쳐 공개한다.

임윤묵 작가의 “양탄자 무늬” 전에서는 작업 과정에서 작가가 겪었던 고민을 엿볼 수 있다. 임윤묵 작가는 일상적 소재를 회화에 담아내며 그 사물이 내면과 맞닿거나 충돌하는 지점을 탐구해 왔다. 이번 전시에서 작가는 한 칼럼에서 읽은 양탄자에 대한 이야기를 삶의 방식과 연결 짓는다. 양탄자의 무늬를 만들어 내는 직조공이 다른 목적 없이 오직 자신의 심미감을 충족시키려 양탄자를 짜내듯, 삶도 무목적적인 개별사건의 모음으로 자연히 완성된다는 것이다.  황아일 작가는 “프랙투스 프랙탈”에서 질서와 무질서, 전체와 부분, 보이는 것과 실체 등의 관계에 집중한다. 작가는 주로 자신의 작품이 공간과 조응하도록 작업해 왔는데 이번 전시에서 역시 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라는 장소를 적극 이용한다. 유리와 라텍스 페인트를 주재료로 설치작품을 만들어 우리의 인식에 머물러 있던 것들에게 새로운 통로를 제공하고자 한다.

임윤묵, 황아일 작가를 선두로 시작한 17기 작가 릴레이 프로젝트는 이처럼 작가 개인이 천착하고 있는 주제와 고민을 엿볼 수 있게 하며 그들의 작품세계를 향해 한 걸음 가까이 다가가는 기회가 된다.

413 BETA

삶을 살아가기 위한 에너지, 충돌: 전시 “잠깐의 들뜸과 넓게 드리우는 파문”

“Fleeting Excitation, Wide-spreading Stirs” Installation view at 413 BETA ©413 BETA

413 BETA에서는 7월 28일부터 8월 17일까지 최윤영, 한윤진의 전시 “잠깐의 들뜸과 넓게 드리우는 파문”을 진행한다.

전시는 입자가 원자와 충돌할 때 들뜸이 일어나는 현상인 ‘충돌 들뜸 (collisional excitation)’의 원리를 삶의 한 단면과 연결시켜 본다. 곧 ‘충돌 들뜸’ 현상을 주체가 외부의 타자와 충돌하며 생긴 에너지를 통해 살아가는 것으로 생각해볼 수 있는 것이다. 

최윤영은 삶에서의 여러 충돌로 인해 겪게 되는 일시적 정착 상태를 회화와 드로잉, 설치를 통해 그려낸다. 회화 <고정된 풍경> (2022), <돌아보았더니 뒤로 물러나는 바람만이> (2022)에서는 단일하지 않은 여러 형상들과 각각의 강렬한 색채가 맞부딪치며 이미지 간 충돌의 감각을 전면화한다. 한윤진은 ‘정동(affect)’과 ‘변용(affection)’ 개념을 경유하여 개인과 타자 사이의 관계를 살펴본다. 이에 중심이 되는 것은 ‘염원’이라는 감정인데, 염원은 타자를 향한 것일 수도 혹은 타자와 주체가 서로를 위하며 가질 수도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벨벳 천과 레진을 이용한 설치작 <원인 감싸기- 7: 축제> (2022)와 <원인 감싸기 – 6> (2022)에서는 검은빛만이 감돌아 아득함을 불러일으킨다.

전시는 세계를 살아 나감에 있어 필연적인 충돌의 과정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기보다는 다음을 위한 에너지를 얻는 사건으로 보게 하며, 이곳에서 새로이 직조한 충돌의 감각을 살피게 한다.

Most Views
World Art View
Most Views
World Art View
Art +
Post Views: 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