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RTNOW.COM

K-artnow.com_2023.09.04_web
K-artnow.com_2023.09.04_web4
K-artnow.com_2023.08.28_web2
K-artnow.com_2023.09.04_web3
2023_0807_webbanner4
Slide
Slide
previous arrowprevious arrow
next arrownext arrow
Slide
Slide
Slide
Slide
Slide
Slide
Slide

표면 아래 감춰진 공간에 대한 탐색: 강이경 작가의 개인전 “Space Lag”.. 외

GOP(Graphite on Pink) Factory

표면 아래 감춰진 공간에 대한 탐색: 강이경 작가의 개인전 “Space Lag”

“Space Lag” Installation view at GOP Factory ©Graphite on Pink

동시대의 미술 출판 및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단체 그레파이트 온 핑크가 운영하는 GOP 팩토리에서 7월 1일부터 22일까지 강이경 작가의 개인전 “Space Lag”가 펼쳐진다. 강이경 작가는 도시 공간에 관심을 기울이며, 도시의 외부적 표면과 하부 구조의 뼈대를 탐구한다. 이러한 관심은 디지털화된 도시 이미지와 결부된다. 작가는 디지털화된 도시 이미지 아래에 감춰져 있을 수 있는 공간에 흥미를 느끼며 회화, 판화, 설치 등을 통해 그곳에 다가가고자 한다.

이번 전시 역시 휴대폰 내비게이션을 사용하던 작가가 내비게이션의 글리치 현상을 경험함으로부터 출발했다. 글리치 현상이 사진을 누락시켜 발생한 자연재해 같은 이미지는 작가로 하여금 지상 세계와 지하 세계 사이 중간 공간에 대한 탐색을 심화시켰다. <바람 부는 곳>(2023), <Ongoing Up-ending>(2023)>와 같은 회화작품들은 글리치를 연상시키는 파편화된 이미지를 활용하고 있다. 정중앙의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설치 작품은 회화의 이미지를 랜덤하게 재생한다. 전시 공간에 울려 퍼지는 사운드는 범종의 소리를 토대로 제작된 것이다. 예불을 드리기 전 종을 치며 지하세계와의 연결을 만드는 불교의 행위를 상기하며 전시는 범종의 소리를 통해 중간지대에 대한 사유를 확장한다.

전시는 지상과 지하 세계 사이 중간지대의 시간과 공간 개념에 대해 이야기하는 강이경 작가의 작품 세계를 엿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Ooooon

예술가가 존재하는 두 방식, 책과 전시: 전시 “사인의 편집자”

“The Four Editors” Poster © Ooooon

오온은 7월 5일부터 30일까지 작가 고현아, 박하늘, 박효범이 참여한 “사인의 편집자”를 선보인다. 전시는 예술가가 존재하는 방식으로써의 책과 전시에 대해 이야기한다.

전시는 책의 내용, 편집 방식, 물리적 형태를 참조하여 구성되었다. 전시 공간은 책의 낱장 페이지를 연상시키는 스케치가 공중에 매달려 있거나, 책의 겉표지를 연상시키는 거대한 구조물, 펼쳐진 책의 모습과 유사한 바닥의 설치물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더불어 흡사 희곡을 연상시키며 대화체로 구성된 전시 서문이 공간의 좌우 벽 하단에 낱장으로 나열되어 있다. 더불어 전시에 참여한 작가들은 먹, 순지, 장지 등의 재료와 과거의 유산을 탐구한다.

전시의 오프닝 날인 7월 5일 오후 7시에서 8시와 전시의 클로징 날인 7월 30일 밤 9시-10시에 편집자들이 소설, 시 혹은 경계가 모호한 텍스트 등을 전시 공간 네 귀퉁이에서 읽는 낭송회가 진행된다. 협업을 거치며 경계가 흐려진 기획자 윤형신과 세 명의 작가는 모두 편집자로 명명되며, 전시 명인 ‘4인의 편집자’ 역시 이들을 의미하는 것이다.  

“사인의 편집자”는 책의 언어와 전시 언어의 병치를 통해 전시와 기획자, 작가라는 개념을 새로이 탐색한다. 

Artspace Boan

조각으로 해양 생태계를 탐사하는 손희민 작가의 전시 “HMS Challenger”와 현대 사회의 AI 우화를 그리는 언 메이크 랩의 전시 “인기생물”

“HMS Challenger” Installation view at Artspace Boan © Artspace Boan
“Popular Creatures” Installation view at Artspace Boan © Artspace Boan

아트스페이스 보안에서는 7월 5일부터 23일까지 손희민 (b.1992) 작가의 개인전 “HMS Challenger”와 언메이크랩의 “인기생물”이 진행된다.

손희민 작가는 생명에 대한 존재론적 물음을 생물학과 물리학을 토대로 시각화해왔다. 특히나 조각을 이용하여 생물의 개념, 물성과 형태, 생태적 변화 등을 탐구해왔다. 전시 명인 ‘HMS Challenger’는 해양학의 기초를 세운 탐사선의 이름인 HMS Challenger에서 빌려온 것이다. 이번 전시에서 작가는 현대 해양의 미소 동물에서 원시 바다의 고생물에 이르기까지 해양의 생태계를 살펴본다. 20여 점의 생물 조각을 제작하며 작가는 생명에 대한 자신의 물음을 다루고자 한다.

언메이크 랩은 기계의 인식 작용을 아이러니, 우화, 유머의 방식으로 풀어낸다. 이번 전시는 ‘불탄 산’이라는 재난의 장소와 인공 지능의 예측성을 병치한다. 더불어 동물을 통해 인간을 풍자하는 우화의 전통을 사용해 기계의 작용을 이야기하고자 한다. 예를 들어, 전시에서는 재나 불탄 것을 통해 점을 치는 스포도맨시(spodomancy)의 형식을 이용해 불탄 나무에 인공 지능이 무의미한 언어를 새기는 것을 신탁과 같이 그려낸다. 이렇듯 전시에서는 다양한 기술을 생태적 위기에 대한 비평적 관측 기술로 사용하여 현 시대에 질문을 던진다.

아트스페이스 보안에서의 전시는 생물과 생태, 동시대의 기술작용을 주제로 한 작가들의 인식을 보여주고 있다.

AlterSide

시대를 가로질러 은둔을 살펴보는 전시 “New Hermits”

“New Hermits” Installation view at Alterside © Alterside

김지평, 김현진, 이환, 99betaHUD, dpgp78이 참여한 “New Hermits”가 얼터사이드에서 6월 30일부터 7월 28일까지 진행된다. 얼터사이드는 2020년에 오픈한 전시 공간이자 영상 프로덕션으로, 대안적 기획과 인프라를 지향하며 대안 공간이라는 개념을 모색해 나가고 있다.

전시는 14세기 중국의 작가 예찬(倪瓚, 1301~1374)의 작품 속 은일(隱逸)과 1980년대 고스 록 (goth rock)을 함께 살펴보며, 이들 간의 공통점을 부정성, 부재의 전면화로 꼽는다. 그리고 이러한 부재의 감각을 펜데믹을 거치며 우리가 경험하였던 단절과 비대면의 감각과 연결 짓는다. 전시 공간의 창문에는 커다란 커튼 형태의 설치 작품인 dpgp78의 <땡큐 코리아>(2023)가 설치되어 있다. 커튼에 그려진 드로잉은 팀의 구성원인 김지환과 민성식이 소통 없이 각자 드로잉을 교대로 주고받으며 제작된 것으로 이 작품을 통해 커튼 밖의 공간과 내부 공간의 분리는 강화된다. 이외에도 김현진 작가는 각종 도상과 형상을 뒤섞어 회화 속에 꿈과 현실로 구분 짓기 어려운 공간을 만들어내며, 김지평 작가는 병풍과 족자의 형식으로 고딕 소설의 등장인물과 고스 록 여성 보컬리스트를 시각화한다. 또한 이환과 99betaHUD(기예림, 한지형)는 각각 개인적 현실과 사회적 현실로부터의 거리를 다루는 회화와 영상 작업을 선보인다.

펜데믹 상황에서 단절과 부재를 경험하며 살아간 우리를 ‘새로운 은자’로 칭하며 전시는 우리가 경험하였던 부재를 적극적인 대면의 형식으로 제시함으로써 그 시간을 다시금 이해하게 한다.

Most Views
World Art View
Most Views
World Art View
Art +
Post Views: 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