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RTNOW

Slide
Slide
Slide
Slide
Slide
Slide
previous arrowprevious arrow
next arrownext arrow
Slide
Slide
Slide
Slide
Slide
Slide

시간의 흐름에 대해 사유해 보는 전시: “눈은 멀고”.. 외

Doosan Gallery

시간의 흐름에 대해 사유해 보는 전시: “눈은 멀고”

“The Sunken Eyes Were Dim” Installation view at Doosan Gallery ©Doosan Gallery

두산 갤러리에서는 두산인문극장 기획전 눈은 멀고(The Sunken Eyes Were Dim) 전시가 4월 19일부터 5월 20일까지 열린다. 전시의 제목 눈은 멀고(The Sunken Eyes Were Dim)는 시간의 흐름으로 인해 모든 기관들이 노화되며 신체 능력이 떨어지는 상황과 마주하고 싶지 않지만 언젠가는 다가올 먼 감각 속의 죽음에 대한 은유이다.

이 전시는 세상의 모든 생명체에게 적용되며 거스를 수 없는 시간의 흐름에 대해 사유해 보는 전시로 구나(GuNa b. 1982), 장서영(Seo Young Chang b. 1983), 전명은(Eun Chun b. 1977) 세명의 작가가 참여하는 그룹전이다.

구나 작가는 설치 조각을 보여준다. 기존의 형태는 전통 조각처럼 매끄럽고 새하얗겠지만 작가의 작품 표면은 갈라지고 휘어지거나 꽤나 변한 흔적을 통해 세월의 풍파를 맞아 노화된 물러진 피부가 떠오른다. 장서영 작가의 단채널 영상은 단단한 벽이나 스크린이 아닌 얇고 주름진 막을 스크린이자 칸막이로 삼아 제한된 공간에서 희미하게 살아가는 노년의 시간과 멀어져가는 감각에 대해 이야기한다. 전명은 작가의 사진은 살아가면서 마주하는 다양한 생명이 주고받는 관계를 사진에 담아낸다. 함께 시간을 보내며 서로 의지하는 사람과 사람, 크고 작은 동물과 사람, 식물과 물건 등의 사진은 순간과 영원에 대해 꿈꿔볼 수 있게 돕는 연료가 된다.

나이를 먹는다는 것은 누구에게나 해당되지만 개개인의 초년, 중년, 노년에 따라 그 흐름을 느끼는 정도는 다르다. 세 작가가 시간의 흐름에 대해 생각하는 각자의 관점에 대한 작품을 통해 매 순간 우리의 곁을 지나고 있는 시간을 감각해 보기를 권한다.

Daejeon Creative Center

대전창작센터에서 선보이는 디스위켄드룸의 기획 전시: “비록 보이지 않더라도”

"Unseen" Installation view at Daejeon Creativity Center ©Daejeon Museum of Art

대전시립미술관에서는 올해 처음으로 ‘DMA캠프 2023’을 진행했다. ‘DMA캠프‘는 ‘젊은 미술기획 공모’ 프로그램으로 시각예술분야의 젊은 미술기획자를 발굴하고 지원하며 전시기획의 새로운 담론과 비평을 확장하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이번 공모에는 디스위켄드룸(ThisWeekendRoom)이 선정되어 대전창작센터에서 그들이 기획한 그룹전 비록 보이지 않더라도(Unseen) 전시가 5월 14일까지 진행되며 총 8명의 작가가 참여한다. 전시는 현실에서 종종 잊혀지는 비가시적인 실체들의 파편과 삶의 이면에 가려져 있는 추상적인 가치들을 주제로 회화, 조각, 설치 등 다양한 형식을 통해 보여준다.

입구에 들어서면 도자기 인형을 소재로 인공/자연물의 요소와 접붙여 강렬한 색채로 보여주는 최지원(Jiwon Choi) 작가의 작품이 전시되어 있다. 그 옆으로는 한상아 작가의 설치 작품과 구나 작가의 회화, 조각 작품이 있다. 한상아(Sang A Han) 작가는 추상적 기호들을 통해 자신이 마주한 세상과 이를 대하는 자신의 마음을 드러내고자 한다. 구나(GuNa) 작가는 죽음과 삶, 꿈 같이 흐릿하고 손에 잘 잡히지 않는 영역을 하얗고 모호한 회화나 조각으로 재구성한다.

2층으로 올라오면 총 세개의 전시실이 있는데 박형지(Hyungji Park), 최민영(Minyoung Choi) 작가의 작품이 전시되어 있다. 박형지 작가의 회화는 완성이라는 마지막으로 향해 나아가기 보다 지속과 갱신의 싸움으로 수행의 과정 속에서 불현듯 드러난다. 최민영 작가의 작품에서 일상적 언어와 동떨어져 보이는 장면들은 주로 작가가 머릿속으로 떠올렸던 장면이나 낯선 환경에서 얻은 기이한 인상을 스케치로 옮겨낸 것이다.

이어서 김진희(Jinhee Kim), 최윤희(Yoonhee Choi) 작가의 작품을 볼 수 있다. 김진희 작가는 비현실적으로 다가오는 이름 없는 순간과 감정을 포착해 이미지로 재구성한다. 최윤희 작가는 흐드러지는 엷은색의 물감을 캔버스 위에 즉흥적으로 쌓아 올리며 시간의 흐름을 추상적인 회화로 표현한다.

마지막 전시실의 이승희(Seounghee Lee) 작가는 주로 동물들을 신화적 존재와 접붙여 하이브리드 개체를 만든다. 동물은 작가에게 인간과 비인간 존재 사이의 관계를 탐색할 수 있는 주요 매개체이다.

작가들은 자신의 삶 속에서 여러 관계와 내면의 움직임에 귀를 기울인다. 너무 사소하거나 반대로 당연한 듯 거대하게 지척에 펼쳐져 있던 환경은 그들에게 이따금 새로운 호기심과 가능성을 열어주는 통로가 된다. 작가들은 꿈, 추억, 내가 아끼는 것들, 기억, 시간, 생명 등 비가시적인 삶의 스펙트럼에서 건져낸 조각들을 시각예술로 보여주며 관람객들도 함께 공유하길 바란다.

Editor’s Picks

Most Views

Editor’s Picks

Most Views

Nonprofit
Post Views: 317